※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9. Chatman`s Life in the round
개념정의 및 역사
- 역사 : 1980~90년대 엘프라다 채트먼의 연구의 최고점
- 목적 : IB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소에 대한 이해
- 문제의식 : 일반 사람들이 매일매일의 요구 연결된 정보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 결론 : 하나의 콘텍스트가 정보 지각에 있어 결정 요소로 작용하고, 이는 개개인의 정보 사용/비사용을 결정
- 의의 : 사람들의 IB 행동에서 콘텍스트에 대한 깊은 통찰력 제공
- 채트먼 이론 : 다양한 사회학 이론에 기반
+ Everyday IB 연구에 영향 끼침
+ Life in the Round를 보강하는 주요 개념 형성에 도움
예. Merton 연구는 채트먼의 insider & outsider 용어 사용의 기반을 제공하고, 정보 문제에 대한 insider/outsider의 대응방식 관련 아이디어를 제공
Chatman의 연구 : Life in the Round 이론의 최종물로서 여수감자에 대한 연구를 제시
4개의 주요 개념
1. Small World
- 정의 : 사회구성원이 공유하는 공통적 worldview가 존재하는 세계를 칭한다.
구성원은 무엇이 중요한지/중요하지 않은지를 결정한다.
- 특징 : Living in the round는 IB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Life in the round가 일상에서 반복되면, 그 결과 그 바깥의 정보추구는 요구되지도need 욕구 되지도want 않는다.
2. Social norms
- 정의 : 주어진 맥락 내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행동의 기준을 의미한다.
Social norms의 패턴화는 small world에 균형 혹은 순서를 제공한다.
- 특징 : Small world에서 정보는 집단행동을 형성시키는 동인이다.
- insider는 스스로의 행동코드를 규범화/반복화하고, 사회적 의미를 공유
- outsider는 공동의 사회적 의미를 그룹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그룹과의 관계를 상실
주어진 사회적 맥락 내에서, 개인은 동질적 사회 그룹과 공통된 욕구를 공유하기 때문에 정보를 추구
3. Social types
- 정의 : Social norm이 개인 혹은 social type으로 정보사용 능력을 분류하는데, 이것이 Social types이다.
- 예 : 입소자는 다른 여입소자에게 사회적 라벨을 부여는데, 이러한 분류를 통해 개개인은 사회적 역할을 부여받는다.
새로운 수용자가 일반적 수감자들과 함께 수용되지 이 전에 분리된 지역에 수감되면 이들은 스스로를 다른 social type-남성-과 협력을 맺으면서 살아남으려 한다. 이때, 남성은 그들을 보호하면서, 그들에게 정보 게이트키퍼로 작동한다.
4. Worldview
+ 정의 : small world 구성원의 공통적 믿음, 관습, 언어의 집합을 의미한다.
+ 역할 : 행동을 평가하고 세계를 해석하는 하나의 시각이다.
+ 특징 : 사회 내 구성원이 다른 insider로부터 온 정보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기제이며, 또한 바깥세계로부터 온 정보에 대해 거절하거나 의심하도록 하는 원인이다.
6개의 명제 : life in the round이론을 구성
- 명제 1. Small world에 대한 개념화는 ‘life in the round’에 본질적이다. Small world에서 합법화된 첫 insider가 행동의 경계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 명제 2. Social norms은 개인행동에 대해 공공감독을 받도록 강요한다. 행동이 적절하거나/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근거이다.
- 명제 3. 적절한 행동 구축의 결과는 worldview의 생성를 생성한다. 그리고 Worldview는 언어, 가치, 의미, 상징, 맥락을 포함한다.
- 명제 4. 우리 대부분에게 있어, worldview는 life in the round에 있어 필요하다. 만약, 정보에 대한 비평적 인식이 등장하지 않는다면, 정보 추구는 필요 없어진다.
- 명제 5. In the round에 사는 구성원은 정보추구에 있어 그들의 세계에 대한 경계를 가로지르지 않는다.
- 명제 6. 하지만, 아래의 조건에서는 정보 경계를 넘는다.
1) 정보가 비평적으로 지각 될 때,
2) 정보가 의미가 있다는 공통의 기대가 있을 때,
3) life in the round가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다는 지각이 있을 때,
적용연구 사례
- “A theory of life in the round” 1999년
- Small World란, 사건/사태들이 보이지 않게 이해되는 곳이고, 사회적 역할을 뒷받침하고 창조하는 곳이다. 그곳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연구에 영향을 미친다.
+ 홈리스의 정보 요구에 대한 허스버거의 연구
+ IBEC 라이프 프로젝트
==> Small World라는 콘텍스트에서의 정보행동을 연구하는데 있어 여전히 가치가 있다
연구 의의
- Small world에서의 정보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
+ Small world에서 정보가 무엇이고, 구성원들이 정보에 어떻게 접근하며, 이 정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결정
+ Small world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
- 관찰된 행동은 본래 맥락-특징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그룹의 연구에 있어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
예. Small world 구성원의 정보추구를 자극하는 외부 요소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정보서비스 제공업자에게 효과적인 정보 서비스 계획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고, 정보 서비스 사용자의 정보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가능 하다.
-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보 요구에 포커스를 맞춘 행동 연구에 있어 탁월한 연구 가치
주요 reference
Metron, Insider and Outsider : a chapter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http://www.jstor.org/stable/2776569?cookieSet=1)
Chatman (1996) The impoverished life-world of outsider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88.4972&rep=rep1&type=pdf)
Chatman (1999) a theory of life in the round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83.4478&rep=rep1&type=pdf)
Chatman (2000) framing social life in theory and research
IBEC (2003) "life in the round" and the homeless : information flow, human service needs, and pivotal interventions
(http://ibec.ischool.washington.edu/pubs/UWKC.main.report.pdf)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