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 : 36. Interpretative Repertoires

 ※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36. Interpretative Repertoires

 

 

개념정의

- 해석적 레퍼토리는 담화분석에 사용된 이론적/분석적 개념이다.

- 사회심리학자들(Jonathan Potter, Margaret Wetherell)의 ‘행동이란, 개개인 지능에서 발현한 과정’이라는 이해에 대한 반응으로 이 용어는 발전한다.

-> 이와 같은 이해의 전제사항은 아래와 같다.

     - 언어와 사람은 분리된 존재

     - 언어는 사회적 행위자social act와 세계world 사이의 매개물medium

     => 이러한 패러다임에서의 분석은 Account의 진실/믿음과 연관한다.

             - Accounts는 사건 또는 마음 상태의 표상으로서, 근원적 과정의 증거로서 사용된다.

=> 이 분석은 1) accounts의 다양성 보다는 동질성을 찾으려 하고, 2) accounts를 카테고리화 지으며 (예. 태도attitude) 3)  행동의 사회적 상황situatedness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 구성주의자 관점   (Tuominen, Talja & Savolainen 2002)

- 담화는 자아the self와 세계the world를 통과하는 운송수단

- 다양한 담화는 자아들selves과 현실reality의 다양한 버전을 구축가능

- 주요가정 : “구성주의자는 사실들로 여겨지는 사물들the things을 물질적으로, 수사학적으로, 추론적으로, 제도화된 사회적 관습으로 정교화crafted한다.”


+ Potter & Wetherell 의 담화분석 형식

- 훈육disciplinary의 다양성 내에서의 언어 사용 연구에서부터 발달

-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발화행동연구speech act theory, 기호학을 토대로, 사회적 세계의 버전versions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람들이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는지 연구

- 관점 : 언어가 사건의 다양한 버전을 고려한다는 것을 인식



+ 구성주의자는...

- 개개인이 사람들과 사건event들을 언행일치로 표현represent하기보다, account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presentations한다고 주장

     (예) 젋은이가 늦은 밤까지 밤새도록 술을 마신 것에 대해 부모 혹은 룸메이트에게      각각 다른 이야기stories로 말한다. (부모에게는 사실을 숨기면서, 룸메이트에게는 사     실을 과정하면서)

- 동일 사람, 사건을 묘사하는 데 있어, 개개인 account 내內 regularity보다 다양한 발화자에 의해 사용되는 요소들elements 내內 regularity가 더욱 중요

+ 이에 영향을 받은 Potter & Wetherell은....

1) 동일 현상에서 accounts의 범위는 “해석적 레퍼토리(= 상대적으로, 내적으로 일관되고 속박된 언어단위)를”포함한다고 주장 (wetherell & potter 1988)

2) 해석적 담론은 담화분석 형식에서 중요한 구성요소component라고 주장

 

 

연구방법

- 해석적 레퍼토리를 식별identifying하고 분석analyzing하는 것은 담화 분석의 주요 방법적 구성물이다.

- 데이터 수집과 분석은 몇몇 핵심 필요 사항을 포함하는데 아래와 같다.

1) Accounts 그 자체는 연구의 주요 대상(목적)primary object이다.

   (개개인의 태도/믿음 혹은 사건의 본질에 대한 정직한 표현이기 보다)

2) 언어의 예, 즉 요약/의역보다 사본transcript/쓰여진 텍스트를 대상으로 다룬다.

3) accounts에서 담화가 구성되는 방식의 변화variation에 주목한다.

 

 

 

적용연구 사례

- Potter &  Wetherell의 연구

- 사회 심리학에 넓게 사용되었고, 사회 심리학을 위해 발전하였다.

- 구성주의자 관점(예. 포지셔닝 이론)과 연관한다.


+ 정보 연구에의 적용 : Potter & Wetherell의 연구는 accounts가 구성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 사용된다.

- Jacobs 2001 :  “테크놀로지”가 일련의 관심대상으로 재생산 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

- McKenzie 2003 : 권위 요구가 만들어지고, 경쟁하고, 보호되는 방법에 대한 연구

- Tuominen & Savolainen 1997 : 정보추구/사용이 담론 행동을 취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주요 reference

Potter, J. & Wetherell, M. (1987) Discourse and social psychology : beyond attitudes and behavior. London : sage.


Weterell, M. & Potter, J. (1988) Discourse analysis and the identification of interpretive repertoires. In C. Antaki (Ed), analyzing everyday explanation : A casebook of methods (pp. 168~183). Newbury Park, Ca : sage.

Jacobs, N. (2001)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ests in schorlaly communication : A discourse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52, 1122~1133.


McKenzie, P. J. (2003) Justifying cognitive authority decision : Discursive atrategies of informarion seekers. the library Quarterly, 73(3), 261~288.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