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23. Face Threat
개념정의
- Goffman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아표현 연구
이는 중개된intermediated 정보추구 맥락context에서 인간 행동 연구와 관련
- Face threat 연구
- 분야 : 사람들간의 상호작용 질서를 눈으로 보기 위한, 면대면 상호작용과 같은 미시사회 연구
사람들과의 모든 상호작용에서, 개개인은 “인상관리 impression management”의 과정에 종사한다는 것을 이론화
- 연구방법 : 자아 표현의 수행적인 면을 극작술로 묘사하고, 인지적인 면은 프레임 분석을 수행한다.
- 정의: 공적으로 욕구되는 자기이미지self-imafe 혹은 “face”의 파괴적/보조적인 정보를 얻고, 공유하고, 숨기는 전략적 책략 strategic maneuver
- 전제 : “information preserve”로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동안, 개개인은 개인적 정보를 스스로 통제
- Face 정의 :
자신에 대한 공적 이미지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역할role과 행동에 일치하는 태도에 대한 사회적 증명
개인과 타인 모두의 지각을 통해 사회적으로 구성 (행동 관찰 & 다른 가능한 증거들)
- “face threatening acts”
- 정의 : 개개인의 긍정적 공적 자기이미지를 몰래 손상시키고 공격함
자율성 상실에 대한 지각이고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역할 유지에 대한 실패에 대한 지각
- 범위 : 직접적이고 의도적인 공격에서부터 비의도적이고 미묘한(이해하기 어려운)함축implication에 까지 이름
- 포착방법: 개개인의 선호되는 역할 혹은 공적으로 존재하는 “face”에 도전하는 단어 혹은 행동을 통해 포착가능
- Face work
1) 전략적 의식적 행동ritual work
: 개인스스로와 타인의 “공적인public face” 피해를 피하기 위해 고안된, 사람 사이 상호작용에서의 전략적 의식적 행동ritual work
2) 교정적인(치료하는)remedial 의식적 행동
: 한 번 “loss of face”를 겪은 적이 있는, 설계된(계획된) 자기 이미지에 대한 피해를 고치기 위해 고안됐던 교정적인(치료하는)remedial 의식적 행동
=> Frames 사이의 불일치mismatch는 상호작용적 문제와 frame 오해 misunderstandig을 야기
- 상호작용 : 맥락적이고contextually 사회적으로 결정된 평가기준(준거기준) frame of reference 내에서의 이해를 지칭
- 프레임들, 역할들, 공유된 사회 이해societal understanding (는)
1) 행동(활동)activity과 상황situation에 대한 기대와 정의를 결정
(예) 행동과 정보에 대한 관심/무관심의 에티켓
정보가 공적/사적으로 고려된다는 점에서, 전략적 비밀의 유지
2) 자기표현self-presentation이 정보 환경에 적용되는 방법을 결정
- 개개인
: 개개인은 기대와 사회적 역할에 의해 프레임지어지는 상황적 맥락에서의 활동에 종사
- 개개인의 정보 추구
: 종종 관여자participant들이 정의된 역할과 내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활동에서 발생
정의된 역할의 예. 정보 추구자 - 고객patron - 사용자
매개자 - 도서관사서 - 전문가
- 상호작용은 아래의 상황 내에서 프레임된다.
(1) 개개 관여자의 환경the setting(도서관)에 대한 기대가 있을 때,
(2) 관여자의 사회적으로 정의된 역할에 기여할 때,
(3) 우연한 만남에 있어 적절한 행동이 요구될 때,
- 개개인 역할 수행은...
1) 선택적으로 ‘자아self’를 표현하고,
2) 개개의 특정 청중을 위해 적절한 역할을 수행한다.
=> 그 결과, 다양한 공적 역할이나 자아들selves를 유지한다.
- 개개인 역할 경쟁은...
청중이 수렴할 때, 역할 경쟁은 발생한다. 그 때 특이할 점은 ‘아래로beneth' 고려되는 face에 대한 threat이 발생할 때는 정보추구 행동을 회피한다.
(예) 도서관에서 교수는 도서관 고객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것보다 교수로 여겨지기를 희망한다.
정보연구에의 적용
- 온라인 정보 행동연구에서 Face Threat 이론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다.
1) 사용자의 욕구need와 보다 더 잘 만나는 자아 표현 방법 디자인은
개인적 정보로의 공공적 접근을 컨트롤하는 온라인 정보 시스템/서비스의 가능성 제안이 가능하고,
2) 사용자를 위해 익명성을 반영하는(통합하는)incorporate 디자인design은
온라인에서의 사람들간 정보 추구 상호작용에서, “face threat”를 줄이는 가능성을 제공 한다.
- Goffman의 연구 는 아직 정보과학 분야에서 검증되지 않았고 광범위하게 이용되지 않았다.
- 정보추구 상호작용에서 face threat 이론 적용 가능 분야는 아래와 같다.
- 역할에 초점을 맞춘 담화이론과 미시 분석접근
- 정보 추구 상호작용에서의 주요 요인/주제에 대한 맥락 분석
- 담화를 포함하는 정보 추구 맥락내에서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연구
주요 reference
Goffman, E. (1955) On face work : An analysis of ritual elements in social interaction. Psychiatry : Journal for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cess, 18(3), 213-231.
Goffman, E. (1961) Frame Analysis :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Cambridge, MA : havard University Press
Goffman, E. (1971) Relations in public : Microsudies if the public order, New York : Basic Book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