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 : 61. Strength of Weak ties

 ※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61. Strength of Weak ties

 

 

개념정의 및 역사

- 1973년 사회적 네트워크 학자 Mark Granovetter

-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에서, “현재 사회학 이론의 근본적 약점”으로 고려되는 것으로

  포커스를 맞추는 SWT 논문을 최초로 발표

- SWT에는

  미시적 수준의 상호작용에 대한 우수한 연구가 이미 존재

  거시적 현상에 대한 큰 규모의 연구 필요.

  -> 거시적 규모와 관련한 미시적 수준의 발견물에 대한 방법론 아직 미존재

  => 자기중심적 네트워크 내에서의 다양한 연대ties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원동력에 대한  분석을 제안

- 강한 연대, 약한 연대, 부재하는 연대의 속성 분석 시작

     - 두 개인 사이의 현대가 강해질 수록 서로 보다 많은 공통점을 가지는 이유 해명

        그 결과, 그들은 동일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부분으로 환원

     - 개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 강한 연대와 약한 연대로 구성

     - 약한 연대 : 다른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링크 혹은 ‘브릿지bridge' 역할 수행


+ Granovetter의 노동 시장 연구

- 보스톤 교외에서 개개인이 직업 정보를 어떻게 취득하고,

  그들이 이 정보를 누구로부터 획득하는지에 대한 연구

-> 제공자와 수신자 사이의 접촉 횟수에 따라, 정보 제공자가 강한 연대인지 약한 연대인지 평가

-> 연대의 강도strength를 반영하는 카테고리 고안

     - 사람이 종종 혹은 최소한 일주일에 두 번 접촉하면 = 강한 연대

     - 사람이 간헐적으로 혹은 일 년에 한 번이상 접촉하면 = 약한 연대

     - 사람이 거의 접촉하지 않으면(일년에 한번 보다 적은) = 부재하는 연대


=> 결과 (Granovette 1973, 1982)

= 많은 경우, 약한 연대로부터 오는 직업 정보가 개개인을 변화시킴

- 약한 연대 : “자아the ego로부터 사회적으로 떨어진 개념ideas, 영향influences, 정보를

            통하는 채널들은 그/그녀에게 도달reach“

- 개개인의 지식은 그/그녀 고유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넘어서는 연대로의 접근없이는     “encapsulated”됨


+ 1) SWT 이론을 완성하기 위해 2) 미시적 수준의 자기중심적 네트워크 분석이 보다 큰 entity로 extrapolate될 것을 증명하기 위해... 보스톤 내 이탈리안 공통체에 대한 케이스 연구 제안

- 이탈리안 공동체는 그것의 지역성내에서 “도시적 재개renewal”를 보호하기 위한

  그 자체의 이동 불가능성 때문에 파괴됨

     - 원인 : 지역 이웃 내 많은 파벌 중 약한 연대의 부족이 이어지는 공동체의 무능

     - 가정 : 공동체 리더는 공동체의 믿음을 모을 수 있었고, 구성원을 동기화시켰을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을 거라 가정

     - 타인과의 약한 연대가 없으면, 이러한 파벌은 치명적 정보를 고립되게 만듬.

       그 결과, 사회적으로 거리가 먼 공동체 구성원들의 지식 교환을 방해함.

 

 


정보행동에의 적용

- 왜 몇몇 개인 혹은 그룹은 정보 빈곤 상태로 남는가에 대한 설명 가능

- 왜 특정 정보원(사서, 정부요원)은 많은 사람들에게 주축 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충분히 이용되지 않는지에 대한 통찰력 제공 가능

 

 


한계

Granovette SWT 이론의 부족한 점deficiency

(1) 넓은 기준에서, Granovette는 연대의 강도를 결정하고는 했다.

(2) 가정을 뒷받침하는 강한 경험적 증거 부족하다.

(3) 단일 정보 사건의 사용은 그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반면, 다양한 정보 사건은 그의 가정을 검증하기 위한 보다 많은 기회 제공 가능하다.

(4) 재능있는 정보 행동 학자가 제안하듯이, 무엇이 정보인가를 결정하는 개개인을 정의하는 그의 경향은 무엇이 그/그녀 자신을 위한 정보인지에 대해 제한한다.

(5) 강한 연대를 희생시키면서 정보원으로서의 약한 연대에 대한 그의 지나친 강조한다.

 

 


적용 연구 사례

Liu & Duff (1972)

- 필리핀 한 도시에 위치하는 특정 이웃 내 중산층과 서민층에서

  어떻게 가족 계획 정보가 공유되는지 에 대한 연구

-> 결과     

     - 특정한 사회적 상호관계를 설명하지 못함

     - 맥락적 데이터로부터 정보 흐름의 채널을 쫒지 못함


Friedkin의 연구

- Granovette 이론에 대한 포괄적 검증 작업 수행

-> 다른 종류의 연대를 통해 변환되는 정보의 유형과 정밀도에 대한 보다 큰 요구에 대한

   유용한 연구 수행


정보행동에의 적용

- Chatman : 나이든 도시인의 정보추구 행동 연구

- Haythornthwaite :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요약

->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의 보다 큰 맥락 내에서 & 그들 저마다의 연구 내에서

    Granovette SWT에 대한 통합적 양상보임

- Pettigrew : Granovette SWT를 유일하게 그녀 작업에 두드러지게 사용한 학자



주요 reference

Granovetter,M.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nmerican journal of cocilogy, 78, 1369~1380.


Granovetter,M.S. (1982) the strength of weak ties : a network theory revisited. In P.V.Marsdes, & N.Lin(Eds) Social structure and nerwork analysis (pp. 105~130). Beverly Hills, Ca : sage.


Granovetter,M.S..(1983) the strength of weak ties : a network theory revisted. Sociological Theory, 1, 201~23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