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62. Symbolic Violence
개념정의
- Bourdieu의 사회학에 대한 아웃라인
- 큰 문화적 행위이론 내에서 투쟁의 장으로서 아비투스havitus
- 투쟁의 장 : 아비투스에 따라 위치지어진situated 개개인이 자본의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유통시키려 시도하는 곳
- 4개의 자본 유형
+ 경제적 유형 : 재화
+ 문화적 혹은 정보제공적(교육적) 유형 : 문화적 생산품과 서비스
+ 사회적 유형 : 우정, 친지aquaintances, 사회적 네트워크
+ 상징적 유형
- 상징적 자본이란?
- 다른 형식(경제적/문화적/사회적 유형)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점에서 다른 유형과의 차이점이 있다.
- 권력 행사exercise of power를 합법화하는 수단들을 제공한다.
- 한 사람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자본을 충분히 축적했을 때, 한 사람은 그 게임의 법칙을 설정set 가능하다.
- 인식cognition, 커뮤니케이션/사회적 통합integration, 그리고 사회적 차별 differentiatio을 수행하는 상직적 시스템을 위한 주요 영양분이다.
- 상징적 시스템이란?
- "구조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예) 과학자는 인문학자와는 매우 다르게 세계를 이해
- "구조화된 구조"를 구성한다.
1) 지식의 도구 : 지식 구조는 문화내 모든 구성원과 공유가능하고, 무엇을 하는게/ 아는게 가능한지를 알려준다.
2) 커뮤니케이션의 도구 : 이는 커뮤니케이션 촉진하여 사회적 통합 기능을 수행한다.
3) 통치(지배)domination의 도구 : 지식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시스템 내의 모든 구 성원을 통합한다. 즉, 위계서열적 순서를 구축하고, "가공의(상상의) 사회적 통합체" 에 의한 사회적 구분(차별)을 합법화한다.
이것이 곧 상징적 폭력이다.
- 상징적 폭력의 합법화는 몇몇 형식을 수반한다.
- 합법화란? 위장되고 당연하게 생각되어지는 부담impositone으로서 상징적 폭력의 형식이다.
- 상징적 시스템은 상징적 권력을 수행하는데 이것이 곧 상징적 폭력이다. 다시말해, 상징적 시스템을 그 스스로가 필요로 하거나/수행 한다는 사실을 알기 원하지 않는 이들에 의해, 지배받는 집단group은 그들의 지배 상태condition의 합법화를 받아들인 다.
- “사회적 세계와 그것의 분할division에 대한 비전의 합법화는 오인 개념을 통해 이 해 가능하다. 다시 말해, 합법적으로 인식되는 권력 수행을 위해서, 합법화는 반드시 이해관계 없는 것으로disinterested오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근원적인 물질적 관심으로부터 떨어져 나옴seperated다는 것을 의미한다.
==> 결국, 합법성은 무관심disinterest의 논리를 관심interest의 논리로 오인하면서 얻는다.
IB에의 적용
- IB에서 상징적 폭력이 중요한 이유
1) 상징적 폭력은 사회적 담화와 정보행동(행동의 진리를 이끌어 내는elicit)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
- 상징적 시스템의 속성에 대한 이해 제공
- 상징적 폭력이 집단에 어떻게 강요되는지에 대한 이해는 곧, 어떻게 개개인의 정보 욕구가 생산되는지를 이해를 의미
- 다른 이론 영역services에서 통찰력 제시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에서의 역할 작동 연구
- 상징적 폭력에 저항하는 전략과 전술에 관한 연구
- 삶에서 규범적인normative 현존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2) 상징적 폭력의 형식에 대항하는 투쟁의 도구 연구
(예) 도서관에서의 상징적 폭력 경험은 도서관 서비스 이용자의 접근, 수집, 서비스에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다시 도서관 콜렉션의 균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3) 세계관worldview이나 메타이론을 제공 가능
- 연구자의 연구 분야 내에서 메타이론적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가능
: 다른 이론적 시각perspectives에 의해 확장되거나, 다른 이론적 시각으로의 연결 가능
(예) Habermas의 의사소통이론communicative action,
Giddens의 사회구조주의 이론
주요 reference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 Greenwood.
Bourdieu, P. (1989) Social space and symbolic power. Socilogy Theory, 7, 14~25.
Bourdieu, P. (1991) Language and symbolic power. Combridge, UK : Plity Pres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