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34. Institutional Ethnography
개념정의 및 역사
- 1980년대 Dorothy Smith의 사회학적 시간 관습 연구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
- 목적 : ‘사람들을 위한 사회학 sociology for people’ 제공
- 일상생활 중 지엽적 환경내에서, 행정/통치의 트랜스로컬translocal 과정 내에서 수행되는 행동들의 결합linkage을 연구하기 위해 일상세계에 대한 관점을 차용
- IE/LIS와의 관련성 : 아카데미 바깥에서 평등과 사회정의에 대한 공동연구를 하는 연구자, 전문직practitioner, 활동가에게 유용하게 사용
+ Smith의 연구
- 그녀 자신의 고유 습관에 대한 자아비평으로부터 연구 시작
- 그녀는 1960~70년대 페미니스트 활동가로서,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사회학자(이성적, 비인간적 담화discourse)로서의 역할이라는 두 개의 역할 모두로 인식되는 분리된 상태 때문에 자신의 역할에 대한 문제 발생
- 그녀는 이러한 극심한 혼란(분리상태)을 사회학적 개념으로 전환recall
- 단점 : 엄마라는 경험을 적절하게 묘사하지 못함
- 장점 : “이성적이고 비인간적인 성적으로 숨겨진 의미subtext”에 기여
1) 이성적, 비인간적 담화는 산업사회에서의 사회생활을 지배하는 기제로서, 가정영역domestic sphere에서의 언어를 억제하고, 일상세계가 ‘체계적 지식의 발전을 위한 장소’가 될 수 없다는 시각을 증진시킨다.
2) “일상세계의 문제”라는 용어를 “경험된 세계의 현실에 ‘잠재된’ 일련의 퍼즐”로 표현한다. 다시 말해, 일상세계는 “모든점에서 사회적으로 조직화”되어있다고 말한다.
- 결론: IE 연구는 개인적 경험 혹은 지엽적 환경에서의 그룹의 경험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지엽적 환경에서 알 수 있는 모든 것의 범위를 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개념
- IE 이해를 위한 중심 개념
1) 사회적 조직 social organization
+ Garfinkel의 사회적 존재론과 Mark의 유물론적 방법론의 결합
- Garfinkel의 사회적 존재론 관점에서의 차용점
: 사회 생활을 지엽적 환경에서 일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현실적 관습들에 대한 지속적 성취로 해석
-Mark의 유물론적 방법론 관점에서에서의 차용점
: 지엽적 환경에서 실행된 작업은 사회적 관계(행위의 연속)에 의해 연결된다. 그 사회적 관계란,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불가피하게 서로에게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 extralocally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2) 사회적 관계 social relation
+ 지엽적 공간에서의 일을 institution의 일에 연결 짓는다. 왜냐하면, 관계의 복잡성은 특정 기능(법, 건강관리, 교육등) 주변에서 조직되기 때문이다.
예. 사서가 지역 사회 단체와 파트너십을 맺을 때, 사서가 미치는outreach 일은 사회적 관계로 포함된다. 정부 사무실에서 수행되는 일, 사회 정책을 만드는 장소에서의 일 등이 그것이다.
+ 사람들의 행동들을 매개하는 담론에서 역할 지어지는 힘 있는 역할ppwerful role에 대해 연구한다. 힘 있는 역할을 하는 이들이란, 사람들이 하나의 상황에서의 결정에 능동적이도록 도와주는 사람들이다.
연구방법
1) 데이터 수집
- DeVault & McCoy : IE 연구의 수행단계를 확인
1) 경험을 식별한다.
2) 경험을 모양짓는 institutional 과정을 확인한다.
3) 그들이 경험의 근간으로 작동하는 방법을 분석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institutional 과정을 연구한다.
- 많은 지엽적 환경에서의 경험적 데이터(인터뷰, 참여, 관창, 문서추적 등)를 수집
- 이러한 데이터는 사회적 조직 연구를 위한 단서
2) 분석
- 연구자들은 데이터를 관계적으로 읽는데 그 목적이 있음
: 하나의 단서는 다른 단서로 유도되어,extralocal 관계가 지역을 모양 짓는 패턴은 결국 하나의 시각view을 형성시킨다.
- IE 연구의 목적 : 하나의 환경에서 확장된 관계에 대한 ‘지도’의 출현에 기여하는 것
적용연구 사례
- IE연구의 정보탐색연구에의 적용가능성
- 정보 탐색는 곧 일work 의 과정을 문자적으로 매개한다는 사실을 논증하는 연구
+ IE 연구자의 work 정의 : 조직적 환경 내외에서 정보탐색 행위들
+ 구체적 연구
모든 계층(all walks of life)의 사람들 과 다양한 상황에서의 사람들이 그들의 일 work를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텍스트와 상호작용하고 활성화하는지에 대한 연구
==> Smith의 반론
: 사람들이 행동하는 이유와 방법을 설명하기 보다. 밤/낮 세계를 모양짓고 조직화하 는 관계, 힘 을 보여주고 탐험하기 위해 매일 밤/낮 세계 매트릭스 상황에서의 특정 경험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
==> IE는 일련의 전략으로서 정보 탐색 연구에 기여 가능
연구 대상 : 연구자들에 의해 착수되는 관심과 이유를 경험하는 사람들
연구 목적 : 그러한 사람들이 어떻게 (1)정보 접근과 (2)사회적 조직화에의
노력하는지에 대한 연구
- IE연구의 LIS에의 적용가능성
+ librarianship 과 인간 서비스 직업 사이의 공통점에서 적용 가능성 발견
- IE 연구
: - 인간 서비스 직업에서 연구자와 전문직에 의해 서비스 접근 이슈 조사가 성공적으로 연구되었다.
--> 사서는 - 사람들과 시스템 사이의 매개자로서 행동
- 그들의 전문적 임무를 수행하면서 수행
- 그들 직업의 민주적 목적을 훼손하는 일을 수행
주요 reference
Smith, D. E. (1987). The everyday world as problematic : a feminist sociology. Boston, Ma: Northeastern Unversity Press.
Smith, D. E. (1990a). The Conceptual practicese of power : a feminist sociology of knowledge. Toronto, ON : Unversity of Toronto Press.
Smith, D. E. (1990b). Tests, facets and femininity : Exploring the relations of ruling. London : Routledge.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