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Ⅱ. 사회구성주의적 접근 Trevor F.Pinch, Wiebe E, Bijker 자전거의 변천과정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해석

※ 아래의 글은 H+S 프로젝트 중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중 일부를 발제한 내용입니다.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 사회구성주의적 접근

Trevor F.Pinch, Wiebe E, Bijker 자전거의 변천과정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해석

 

ㅁ 최근의 과학기술학’(STS :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의 성장

: 과학과 기술의 분리

ㅁ 과학학과 기술학의 상호보완적 관계 탐구 필요

: 기술사회학 중 사회구성주의적 관점

 

관련 문헌의 검토

1) 과학사회학

ㅁ 대상 : - 최근 출현 과학 지식사회학

- 과학적 아이디어, 이론, 실험의 실제 내용

ㅁ 업적 : - 지식사회학을 견고한 과학’(hard science)의 영역으로 확대

- 강한 프로그램(strong programme)

* 강한 프로그램이란? : 과학도 다른 지식과 마찬가지로 문화의 일종으로 취급되어야 하며, 과학지식에 접근할 때에도 다른 지식을 분석하는 방법이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프로그램

ㅁ 의의 :  과학지식을 사회적 구성물로 바라보는 시선은

(1) 과학지식의 성격이 인식론적으로 특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

(2) 과학지식은 지식 문화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2) 과학과 기술의 관계

ㅁ 철학자 : 분석적 근거에 입각하여 과학과 기술을 분리하려고 시도

과학 = 진리의 발견 / 기술 = 진리의 응용

ㅁ 혁신연구자 : 순수과학이 기술의 발전에 도움을 주는 관계

ㅁ 오늘날 연구자

: 기술혁신은 광범위한 공간과 역사적 시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것이 과학에 의존하는 정도가 경우에 따라 매우 달라짐

à 문제점 : 과학과 기술 자체가 다양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사회적으로 생산된다는 사실은 이해못함.

ㅁ 최근 : 과학과 기술의 관계를 사회학적으로 개념화 시도

-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은 상대방의 자원을 도출하고 활용하면서 자신의 지식과 기법을 구성

- 과학과 기술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문화로서 자신의 목적에 적합한 자원은 무엇이든지 활용 가능

- 과학과 기술의 경계는 특정한 환경에서 사회적으로 협상됨

- 과학과 기술의 명확한 구분은 존재하지 않음

 

3) 기술학

(1) 혁신연구

ㅁ 혁신의 성공조건을 찾으려는 경제학자들에 의해 수행

* 혁신의 성공조건이란?

: 혁신기업의 다양한 측면들(연구 개발의 규모, 관리전략, 마케팅 능력)과 거시경제적 요소

ㅁ 과학지식은 암흑상자(black box)’ : 과학자들 혁신의 추동자로 설정

(초기 시절 과학사회학 연상)

ㅁ 혁신과정 6단계 모델

à 문제 : 기술 자체에 대한 설명은 부재하고,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만 고려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의 기초로 사용 불가

 

(2) 기술사

à 문제점

- ‘서술적 역사가 지배적 : 특정한 사례 연구를 넘어 일반화 시도 거의 없음

- 분석의 비대칭성 : 실패 혁신에 대한 연구 사례 부족, 대부분의 사료 이용에 있어 불충분적.

 

(3) 기술사회학

- 멀케이(Mulkay, 1797a)

: 기술의 성공과 효능이 과학지식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 특수한 문제 제기 가능할 것이라 주장

기술의 실제적 효율성이 과학의 특권적인 인식론적 지위를 보장하기 때문에 사회학적 설명에서 제외된다.”는 주장 공격

    이러한 주장에 대해 과학은 발견되고 기술은 응용된다는 관념 함축되어 있다고 주장

    거짓이론이 성공적인 응용의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 주목

è 기술을 사회적 구성물로 이해하는 관점을 채택하는 연구자 증가

-      미셀깔롱(Michel Callon) : 1960~75년 프랑스의 전기자동차 논쟁

누가 과학자이고 누가 기술자인가, 무엇이 기술적이고 무엇이 사회적인가, 누가 논쟁에 참여할 수 있는가

-      데이비드 노블(David Noble) :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성공한 기술과 실패한 기술을 모두를 대칭적으로 다룸

-      바이커(Bijker) 뵈니히(Boning), 반 오오스트(Van Oost)

: 기술적 인공물의 내용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에 경험적으로 접근

 

EPOR SCOT

- EPOR SCOT의 불균형

 EPOR :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융성하고 있는 전통의 일부분 à 정착된 프로그램

 SCOT : 연구전통 없는 신생분야, 초기경험적 수준

 

EPOR 경험적 상대주의 (Empirical Programme of Relativism)

- 정의 :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출현한 전통연구

- 영향 : ‘견고한과학을 대상으로 과학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주장하는 몇몇 연구들을 유발

EPOR의 설명목표

1단계 : 과학적 발견의 해석적 유연성’(interpretative flexibility)이 드러남

        과학발전에 대한 설명의 초점을 자연 세계에서 사회 세계로 전환시킴

2단계 : 해석적 유연성을 제한하고 과학적 논쟁의 종결을 허용하는 사회적 메커니즘설명

3단계 : ‘종결 메커니즘’(closure mechanism)을 광범한 사회적,문화적 환경과 관련시키는 작업

è  콜린스(collins, 1981c) : 3가지 단계가 모두 설명될 경우에는, “실험실에서 생산된지식에 대하여 사회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거의 없어진다.”

-      1단계에 대한 우수 연구 이미 많이 존재

-      최근 연구들은 2번째 단계에 집중

EPOR의 많은 연구들은 대체로 과학적 논쟁의 영역을 충실히 탐구

: 논쟁은 과학적 결과의 해석적 유연성을 쉽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론적 이점 제공

콜린스의 중행집단’(core set)

: 과학에서의 논쟁집단’, 논쟁적인 연구주제에 매구 긴밀하게 연관된 과학자들로 구성

 

SCOT 기술의 사회적 구성 (Social Construstion of Technology)

- 기술적 인공물의 개발은 변이와 선택이 교대되는 과정

- 혁신에 대한 다방향 모델’ (multidirectional model) 제안

. 자전거의 발전과정

<그림 2> (p.57)
-
자전거 발전에 대한 다방향적 모델

- ‘ordinary’ 자전거라는 인공물 이외에도 수많은 변종들이 존재한다는 사실 알림

- 당시 행위자의 관점에서, 이러한 변종들은 서로 달랐으며, 경쟁의 관계에 있었음을 인식해야

 

<그림 4> (p.59)

- 자전거 발전에 대한 선형적 모델

- 사후적 관점에 입각해서 역사적 사실 왜곡

: ‘안전 자전거<그림 5,6,7>’(pp.60~61)에 대한 고려를 제외시킴

 안전자전거 중 몇 대는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진 반면, 선형모델 주요 자전거는 상업적으로 실패

 

ㅁ 다방향 모델 선택에 대한 의문점 : 기술의 선택과정에 대한 검토 필요

왜 몇몇 변종은 사라진 반면 다른 변종은 살아남는가?”

- 해석적 유연성

: 각 인공물에 의해 제기된 문제점과 해결책을 살펴봐야 à 이는 EPOR의 과학적 논쟁과 유사

- ‘관련 사회집단’ (relevant social group)

: 문제점 규정은 그것을 문젯거리로 삼는 사회집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가능

  + 정의 : 개인들이 모여서 구성된 집단, 군부/기업과 같은 제도 및 조직

  + 조건 : 집단 구성원들 모두 특정한 인공물에 대한 동일한 의미의 집합(set of meaning)을 공유 (. 자전거 반대자들 anticyclists, p.62의 인용문단)

 

ㅁ 관련 집단들의 균질성에 대한 의문점

임시로 규정된 사회집단이 인공물에 균질한 의미를 부여하는가

- 초기 ‘ordinary’ 자전거는 여성을 배려하지 않았으나, 몇몇 발명가는 여성 소비자의 잠재성을 인지하였음

- 관련 사회집단들이 규정되면 인공물은 더욱 자세히 묘사가능

- 각 집단과 관련된 인공물의 구체적인 기능을 적절히 규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사회집단의 세부적인 관심사를 고찰해야

. 높은 바퀴를 가진 ordinary 사용 집단

: 전문직업인, 회사원, 교사 등 요령과 담력을 가진 젊은 남성

자전거의 주요기능은 스포츠

 

è 다방향적 모델의 결론 :

      공공고ㄱ물물무ㅁ에에ㅇ 대댛대ㄷ한한하 고나날나곤고ㄱ련련려 사샇사ㅅ회횢회호지공물에 대한 관련 사회집단이 규정<그림 8> à 인공물에 대하여 각 집단이 부여하는 문제점에 관심<그림 9> à 각 문제점에 대해서 몇몇 해결책 규정 <그림 10>

    자전거 관련 문제점과 해결책 <그림 11>

-      모든 종류의 갈등 볼 수 있음 :

상이한 사회집단의 기술적 요구에 대한 갈등 (속도에 대한 요구와 안정성에 대한 요구)

동일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 사이의 대립 (낮은 바퀴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식과 기존 ordinary에 새로운 안전장치를 부착하는 방식)

도덕적 갈등 (높은 바퀴를 가진 자전거를 사용하는 여성이 셔츠나 바지를 입는 경우)

-      갈등과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기술적, 법적, 윤리적 성격)제시 가능

 

ㅁ 안정화

- 다방향적 모델에 따라 발전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안정화 되는 정도 살피기 가능

- 초기 : 관련집단은 두발, 세발 자전거 등에 주목

à 후기 : 안전 자전거로 귀착 (낮은 바퀴에 뒷체인 구동, 다이아몬든형 자체, 공기 타이어 등)

 

사실과 인공물의 사회적 구성

 

해석적 유연성 : SCOT 1단계

EPOR : 1단계에서 과학적 발견의 해석적 유연성 설명

SCOT : 기술적 인공물이 문화적으로 구성되며 해석된다고 주장

à 사람들이 인공물에 대하여 생각하거나 해석하는 방식과 관련한 유연성뿐만 아니라

   인공물이 설계되는 방식에도 유연성 존재한다는 사실 발견

   , 인공물의 설계에는 유일한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유일한 최상의 방식이 존재

 

ㅁ 공기타이어의 해석적 유연성

- 몇몇 사람들 : 공기타이어는 작은 바퀴를 가진 차량의 진동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

- 다른 사람들 : 공기타이어는 속도를 증가시키는 수단

à 몇몇 엔지니어 : 공기타이어가 외양을 나쁘게 하고, 낮은 바퀴의 차량을 더욱 불안하게 만드는 수단

à 진동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스프링을 장착한 차체, 안장, 조향핸들 사용<그림14>

è 각 사회집단이 인공물을 다르게 해석하고 상이한 문제점과 상이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상이한 후속 발전이 유발된다는 주장이, 인공물 자체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

 

종결 및 안정화 : SCOT 2단계

: 논쟁이 종결되어 인공물이 안정되는 매카니즘 작성

 

   수사적 종결

- 기술의 종결 : 인공물의 안정화와 문제점의 소멸포함

                    일반인보다 관련 사회집단이 그 문제점을 해결된 것으로 간주하느냐가 중요

- 수사적 어구를 이용한 종결 : 광고는 사회집단이 인공물에 부여하는 의미를 형성하는 데 중요

                                            . 자전거의 안정성에 대한 광고 (p.76)

   문제점의 재정의에 의한 종결

ㅁ 공기타이어 반대론자

- 대부분의 엔지니어 : 공기타이어는 이론적/실제적인 면에서 다루기 까다로움

- 일반 대중 : 미적으로 끔찍한 액세서리

- 낮은 바퀴 자전거 수용자: 공기타이어의 진동문제 발생

ㅁ 공기타이어 수용

- 공기타이어 장착 경주용 자전거의 승승장구 à 일반 대중의 비아냥 종결

ㅁ 공기타이어에 대한 문제 재정의 발생

초기 : 공기타이어의 진동 문제 à 후기 : 공기타이어의 속도 문제

è 인공물이 해결해야 하는 핵심적인 문제점이 재정의됨으로써 관련 사회집단에 대해 문제점은 종결

 

광범한 맥락 : SCOT 3단계

- 기술적 인공물의 내용을 광범한 사회정치적 환경과 관련

- SCOT 설명 모델은 상이한 의미가 상이한 발전 계보에 구성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광범한 환경과 기술의 실제 내용 사이의 관계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 제공 가능

 

결론

ㅁ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은 과학사회학에서 번창하고 있는 전통이며, 다른 영역에도 적용도리 가능성 다분

- 혁신 연구와 기술사 연구는 사회학적 목표에 부합하지 않음

- 기술사회학 연구를 통한 사회굿어주의적 사례 연구의 출현에 주목

 

ㅁ 과학지식사회학 분야의 EPOR과 기술사회학 분야의 SCOT 2가지 접근법 개관

- 2가지 목표의 유사성 지적

- 해석적 유연성, 종결 매카니즘, 관련 사회집단의 개념이 기술사회학의 경험적 기반 제공

 

ㅁ 기술사회학이 과학지식사회학에 비해 충분히 개발되지 못함

- “과학사회학화 기술사회학이 어떻게 서로 도움을 주는가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필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