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12. Collective Action Dilemma
개념정의
- Collective Action Dilemma ( CAD)
- 사회적 딜레마는 행위자actor가 집합적 결과 collective action을 찾고자search할 때 발생
- 개개 행위자의 자기 관심은 집단group의 목적에 헌신contribute to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위한다. 그 개개인의 수준level에 합당한reasonable 행동은, 모든 집단parties들이 더욱 어려워지는be worse off 상황을 일으킨다.
- 따라서, 사회적 딜레마는 이러한 불완전한 평형상태equilibrium를 의미
영향이론
- 사회학, 정치학, 경제이론의 영향 아래 출발
- 초기선구자 : VonNeumamm과 Morgenstern, Olson, Hardin
- 영향 : 심리학, 사회심리학, 진화생물학으로부터의 통찰력 통합 발전
진화적 게임이론의 발전 촉진
종류
- 무임승차 문제 / 공유지의 비극 => 동전의 양면
1) 무임승차문제
- 행위자는 공익에 기꺼이 기여하지 않으면서도 공익 소비를 원한다
- 연구분야 : 이성적 행위자 모델의 확장
집합적 행동의 정치적 사회적 문제
집단 결속solidarity이론
규범의 강제the enforcement of norms
- 특징 : 공익 제공 집단에 대한 도전
기여가 자발적이고 집단이 비공식적일 때 발생 (온라인 그룹)
2) 공유지의 비극
- 행위자는 그들의 공익소비가 공익(의 가치를) 떨어뜨림에도 공익을 소비한다.
- 특징 : 개개인의 부정적 행동으로도 공익은 줄어들지 않다고 느낄 정도로 크기 때문, 개개인의 공익소비가 공익의 질을 낮출 때 발생한다. 다른 사람들이 공익을 사용함으로써, 공익 소비가 방해받는 사실을 강조한다.
- 온라인 환경에서의 예 : 과도한 다운로딩 때문에 발생하는 광대역 소비
- 전자적 공익의 주요 강점 : 라이벌/저하/붐빔의 문제를 감소시킨다.
+ 라이벌 : 오직 한 사람만이 한 번에 하나의 책을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전자적 공익에서는 여러 사람이 하나의 문서에 접근 가능하다.
+ 저하degradation : 웹페이지는 닳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봐도 변하지 않는다.
+ 붐빔현상crowding : 사용자가 계속 합류하여도 그 사용에 있어서, 온라인 정보의 질 자체가 낮아지지는 않는다.
- 온라인 사회적 공간 존재 : Usenet Group, 이메일리스트, 블로그
- 몇몇에 의한 과대한 사용이 타인을 위한 공익을 감소시키는 장소
- 사회적 송전력carrying capacity을 보유하는 장소
- 무임승차문제/공유지의비극 : 전략적 상호작용 게임의 과학적 은유 아래 모델화 가능하다.
- 대표적 예 : 죄수의 딜레마(가장 공통적)
- 죄수의 딜레마 & 이와 관련한 게임이론 모델 : 개개인과 집합적 관심 사이의 싸움conflict을 그 상대방들parties의 행동을 조건으로 하는contingent 일련의 보복payoff으로 조성한다.
+ 평판효과
- 집단행동 딜레마의 기준(이 되는) 예측 baseline prediction은 수익구조를 대체하는 메카니즘의 부재로 인해, 불안정한 평행상태가 지배할 것이다.
- 메커니즘으로서 평판 효과가 존재 (온라인환경)
- 정의 : 행위자는 그들의 평판을 보호하기 위해 “옳은 것을 한다”
- 근거 : 온라인 그룹 내 아이덴티티 때문에 사회적 연대tie에 깊이 관여했을 때 기여가 활발하다.
따라서, 사회적 연대는 사람들이 공익에 기여하는 중요한 근거이다.
- 문제점: 주요 재단 & 이 재단에 기여하는 사람들만 활용한다..
=>결론 : 메커니즘의 부재 아래, 1) 협력과 기여는 유지시키기에 힘들 뿐만 아니라, 2) 의무불이행 defection의 경우가 많다.
+ 커뮤니티
- 수백만명의 사람들은 온라인 공간에서 상호작용한다.
(예) 지식자본/사회적 자본 생성, 타인과의 친교활동
-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예) 뉴스구룹, 이메일 리스트, 웹게시판, 블로크, 위키, IM(instant message)
- 역할 : 상호작용을 공익으로 변화시킨다.
의무불이행을 억제시키고, 기여 촉진 매카니즘을 활성화한다.
- 장점 : 긍정적 평판 시스템을 활용하여, 결국 공익에 기여할 수 있다.
사람들은 “좋은 이름”을 얻기 위해, 능수능란하고 방대한 지위를 얻기 위해,덕 있는 기여자가 되기 위해 경쟁한다.
- 문제점 : 비평을 제한하는 행동이 증가한다. (예. 트롤링)
연구의의
- 전제 : 협력을 위한 인간능력은 우리 사회의 핵심이고 일상경험을 위한 틀짓기framework이다.
- 따라서, 집단 행동 딜레마 모델은 아래와 같은 연구의의를 가진다.
1)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 위로의 접근의 사용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이러한 관점은 테크놀로지의 범위와 가능한 사회적 어플리케이션을 지적한다.
2) 갈등의 핵심을 돋보이게 하고, 집단행동 방해물을 극복하는데 성공한 사람들을 위한 기회 축적을 제공한다.
주요 reference
- 제본 불충분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