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 : 38.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

 ※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38. Kuhlthau`s Information Search Process

 

 

개념정의

- 도서 정보 서비스와 시스템의 목적 : 출처source, 정보, 아이디어에의 접근 제공

- 강화된 접근enhanced access

   : 지성적 접근intellectual 과 물리적 접근physical access를 포함

     - 물리적 접근 : 출처와 정보의 위치를 불러오는address 것 지칭

     - 지성적 접근 : 출처 내 정보와 아이디어의 해석을 불러오는adress 것 지칭

+ 정보탐색과정이란,  지성적 접근을 정보, 아이디어, 의미탐색 과정으로 보내는adress 과정


- 개념적 프레임워크로서 정보탐색과정의 발전은 경험적 연구의 결과이다.

- 경험적 연구의 역사

     - 출발 : 중학교 학생들의 질적 연구와 함께 시작

     - 1983년 최초 모델로부터 발전

     - 1989년 다양한 도서관 사용자의 질적 연구/종단적 조사법을 통해 증명

     - 2001년까지 케이스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 (Kuhlthau 2004)

+ 종단적 조사법이란?

     - 모든 지원자는 도서 정보 시스템에서 광범위한 정보추구를 필요로하는 실제 업무     를 가진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 개개인이 정보 추구를 하는 과정 동안 3개 시점에 데이터를 수집한다.

     - 개인적 accounts를 이끌어내기 위해 인터뷰 기술을 사용한다.

 

 


6단계 이론

+ 기반 이론 : Gorge Kelly의 개인적 구성개념 이론

     - 정보 탐색을 구성 과정으로 묘사

     - 정보탐색과정에서 사용자 경험의 공통적 패턴을 복잡한 업무로 묘사

     - 복잡한업무란? - 분절된 시작과 끝을 가진다.

                     - 구성개념construction을 필요로 한다.

                     - 수행되는 법 학습한다.

     - 느낌과 행동은 6계의 단계로 묘사된다.

     1) 시작initiation

        사람이 지식 혹은 이해의 부족을 인지하면 스스로 불확실성과 걱정을 야기시킨다.

     2) 선택selection

        - 관련 주제의 일반적인 영역area, 주제topic, 문제problem가 식별된다identified

        - 탐색을 시작하기 위해 최초의 불확실성은 종종 낙천적인 느낌과 준비하는 감각          으로 변한다give way to

     3) 탐구exploration

        - 모순되고 양립할 수 없는 정보와 우연히 만남encounter기도 한다.

        - 하지만, 불확실성, 혼란confusion, 의심은 더욱 증가한다.

     4) 형성formulation

        - 집중된 관심focused perspective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 정보에 대한 신뢰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불확실성은 점차 감소한다.

     5) 수집collection

        - 집중된 관심focused perspective과 관련한 정보가 모이기gather 시작한다.

        - 불확실성은 관심으로 변화하면서 안정된다.subside

        - 프로젝트에의 연루involvementdeepen는 보다 심화된다.

     6) 제시presentation

        - 정보 탐색이 완료되는 시점이다.

     => 이의 과정을 통해 형성된 새로운 이해는

     1) 타인에게 배울 수 있도록learinng to others을 설명을 가능하게 하고 2) 스스로가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배우는 것learning to use을 가능하게 한다.

 

 

 


6단계 이론의 시사점

+ 사람들은 생각들, 감정들, 행동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탐색과정을 경험

 

 

- 정보탐색 과정에 있어서 사람의 감정에 대한

   영향적affective, 인지적cognitive, 물리적physical 측면을 최초로 연구하였다.

- 가장 놀라운만한, 인식가능한recognizable 발견 중 하나는,

  탐색이 시작된 이 후, 탐구 단계에서 불확실성이 가장 증가하고, 신뢰가 가장 감소한다    는 사실이다.

- 정보탐색은 (정보를 재생산하고 찾는 과정이 아니라)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이라는 시사    점을 던져준다.

- 구성개념과정에는 1) 탐구와 형성을 포함하고 2) 드물게는 직접적으로 선택에서 수집으로 속행proceed하기도 하며, 3) 정보탐색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선택과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주요 개념

+ 불확실성 개념 제시

- 정의 : 불확실성 원칙은 불확실성이 인지적 상태라는 것을 의미

  공통적으로 걱정의 징후들과 신뢰의 부족을 야기시키는 인지 상태가 발생하고, 불확실성, 혼란confusion, 좌절frustration 의 감정적 징후들은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기대되는 동시에 주제 혹은 질문에 대한 막연하고 불분명한 사고와 관련한다.

- 지식은 명확하게 포커스된 사고들로 이동하고, 느낌은 신뢰 증가 방향으로 발전한다.

- 이해의 부족, 의미의 차이, 제한된 구성개념 때문에 발생한 불확실성은

  정보탐색의 과정의 시작점이다.

- 불확실성 원칙은 6개의 추론corollary에 의해 확장되는데,

  각각의 추론은 정보탐색과정에서 특정 구성요소의 확장을 제공한다.

  : 과정process, 형성formulation, 잉여redundancy, 분위기mood, 예측prediction, 관심interest


+ 불확실성의 필요성

- 6개의 단계 중 형성에 앞서서 사람들은

  독특하고unique, 양립할수없고incompatible, 모순된inconsistent 정보에 직면하면,

  높아지는 불확실성을 경험한다.

  -> 탐구 단계에서,

     (증가하는 불확실성이 무언가 틀렸다는 징후로 여겨지는 것보다)

     증가하는 불확실성을 “기대”하는 것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 +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요구need는 학습과 창조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서, 정보탐색     에서 자연스럽고 근본적인 특징이다.

     + 불확실성은 하나의 개념으로, 정보탐색과정에서 의미화에 대한 사용자의 탐구quest     로 향하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 조정의 공간 개념 (Vygotsky)

+ 정의 :     - 사용자가 홀로 할 수 없고, 어려움을 겪는 것에 대한

             안내와 도움을 제시하는 지역area

             - 사용자가 정보탐색 과정으로 집입할 수 있도록 도움

             - 조정의 공간 바깥에서의 조정 : 방해적intrusive & 압도적overwhelming

             - 조정의 공간 양 측면sides에서의 조정 : 비효율적inefficient&불필요               unnecessary


+ 조정의 공간과 불확실성 원칙

  : 정보 탐색 이해를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사용자 관점에서의 구성개념의 과정으로 제안 (Kuhlthau 2004)


적용연구 사례

+ 업무모델에서의 사용자 관점 정보탐색과정

- 업무모델에서 사용자 관점 정보탐색과정은 4개의 기준에 기반한 일련의 선택들로 여겨진다. 그것은 업무task, 시간time, 관심interest, 유용성availability이다.

- 정보 탐색 중 사람의 concern은 아래와 관련한다.

     1) 수행되는 업무 task to be accomplished

     2) 할당된 시간 time allotted

     3) 개인적 관심 personal interest

     4) 정보 유용성 information available

- 이 기준은 정보탐색과정의 단계 내에서 연속된 선택들의 맥락에서 판단과 관계한 이해를 대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정보탐색 과정 내의 사람들은 아래 질문에 기반 하여 선택한다.

  1) 업무 : 나는 완수하기 위해 무엇에 애를 쓰는가?

  2) 시간 : 나는 얼마의 시간을 가지는가?

  3) 관심 : 나는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무엇을 찾는가?

  4) 정보 유용성 : 어떤 정보가 나에게 유용한가?

  ->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질문은 아마도 언제든지 탁월하다predominate


주요 reference

Kelly, G. (1963) A theory of personality : the psychology of personal constructs. new york : W.W. Norton


Kuhlthau, C. (2004) Seeking Meaning : a process approach to library and informaion services.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