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 : 59. social positioning

 ※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59. social positioning

 

개념정의 및 역사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

 : 개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추론적인 관습practices의 문맥에 관한 연구

- 연구자들은 아이덴티티 구성identity construction에 대한

  후기구조주의poststructural 개념을 탐구

- 상대적이고relative, 사회적으로 구성적이며,

  문맥적이고, 매우 개개인적인individual 개인적personal 아이덴티티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 전통에 기반


- 정보행동 탐구가 LIS에 잘 구축되었다 하더라도,

  LIS의 연구는 거의 개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담론에 대한 탐구 못함

  (예) 추론적 스테레오 타입은 사서의 서비스/정책policy 결정을 알릴 때,

      최종 결과end result는 굉장히 극소수의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과 만나 관습화시킴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은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

     1) 서비스의 개별화된 모델 발전을 위한 프레임 워크 제공

     2) 개개인들의 정보 행동을 알리는 사회적 복잡성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정보 내용들 안에서 사회적 담론의 실험을 용이하게 하는 연구를 위해 프레임워크 제공

 

 


역할이론과의 차이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은 역할 이론의 역동적인 확장

: 역할들을 가로지는 복잡성에 대한 연구의 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제기

  (예) 한 여성이 아이를 데리고 있으면,

      사회는 그녀에게 "mother"역할로 낙인assign, 특정한 책임을 부여dictiate

- 역할이론의 한계

: 역할 이론이 “mother”과 "worker"사이의 갈등을 드러낸다고 하지만,  각 역할의 요소들을 수용/거절함으로써 개개인들이 새로운 사회적 포지션("mother-worker-spouse")을 구성하는 역할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무시하는 한계를 가진다.

-> 반면,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은 개개인의 신분의 발전에 있는 복잡성에 관한 탐구를 허용한다.

 

 


초기연구

+ Hollway(1988)

- 자기 포지셔닝Self-positioning(SP)

     :  심리학에서, 최초로 연구

       Hollway(1982)의 이성 관계에서의 성차gender difference에 관한 연구

       남성성male 여성female성을 강화하는 사회적 관습 관한 연구

- 성적 아이덴티티 결정에서 남자와 여자를 취하는take up(또는 버리게하는)것과 관 련한 몇몇 추론적 tenet 식별indetifed

(1) 담론들은 개개인들이 취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통용 가능한 포지션들을 생성한다.

   ; 이 포지션들은 특정 담론의 의미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관계하며 정착한다.

예. 여자는 남자에게 종속된다"the women submits to the man"

(2) 어떤 경우에는, 특정한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 모든 사회적 그룹 구성원에게 동일하게 가능하지 않다.

예. “the man submits to the woman"은 전통 담론에서는 논의 될 수 없었을 것

(3) 관습과 의미화는 개개인의 삶을 통하여 발전되고 재생산되어 온 역사를 가진다.


=> Holloway의 연구는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으로 발전

- Davies&Harre, 1990

  : 개개인들은 아이덴티티에 있어 능동적인 발전가active developer라는 것을 내포

- Van Langenhove와 Harre(1990)

  : 추론적 경험으로서 포지셔닝 형태들을 세분화


포지셔닝 종류

(1) 첫째와 둘째 서열 포지셔닝 first and second order positioning

+ 첫 번 째 서열 포지셔닝 : 개개인이 몇몇 카테고리들과 스토리라인을 이용해서 그 스스로와 다른 사람을 추론적으로 위치 짓는 방법이다.

(예) 어린 학생은 성숙한 학생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나에게 내 엄마를 생각나게 한다. 당신 이 숙제를 도와줄 수 있나요?” 이 위치에서 나이 많은 학생은 나이 혹은 엄마닮음 때문에 숙제를 도와준다.

+ 두 번 째 서열 포지셔닝 : 개개인이 어떻게 그들이 새로운 포지셔닝에 포지셔닝되고, 새로운 포지셔닝과 협상하는지negotiated에 대한 질문을 던질 때 발생한다.

(예) 성숙한 학생이 대답하기를 “왜? 난 나이 많지 않아.”


(2) 수행적이고 accountive한 포지셔닝 performative and accountive positioning

+ 두 번 째 서열 포지셔닝에서, 첫 번 재 서열에 있는 다른 사람과의 대화 내에서 발생한다. 즉, 두 번재 서열 포지셔닝이 제 3의 집단과 함께 할 때 발생하는 것이다.

(예) 성숙한 학생이 친구에게 말하기를 “저 어린 학생은 나에게 도움을 원해.  왜냐하면 내가 그로 하여금 그의 엄마를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야. 이 사실을 믿을 수 있겠니?”

-> 이 포지션의 이러한 renegotiation을 accountive 혹은 세 번째 서열 포지셔닝이라 부른다.


(3) 도적적이고 개인적인 포지셔닝 moral and personal positioning

+ 사람들은 도덕적 서열을 고려하여 포지셔닝 된다. 도덕적 서열 위에서, 사람들은 사회적 행동을 수행한다. 즉, 사람들 스스로의 포지셔닝을 이해하기 위해, 사람들이 주어진 도덕적 서열에 전념하거나, 사회적 삶의 제도적 면에 충실하는 것이다.

(4) 자아와 타인 포지셔닝 self and other positioning

+ 대화 내에서, 각각의 참여자는 항상 자신을 포지셔닝 하는 동시에 타인을 포지셔닝 한다. 이러한 방식의 포지셔닝은 추론적인 관습으로서, 개개인은 제공된 포지셔닝을 renegotiatiate 혹은 받아들인다.

(5) 암묵적이고 의도적인 포지셔닝 tatic and intentional positioning

- 많은 첫 번재 서열 포지셔닝은 암묵적 일 경우,

: 개개인은 스스로를 혹은 타인을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방법으로 포지셔닝 하지 않는다.

- 첫 번째 서열 포지셔닝은 의도적일 경우,

: 개개인은 타인을 검증중이거나 타인에게 거짓말한다.

(예) 어린 학생은 성숙한 학생이 불편한 감정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 그와 엄마 사이의 관계를 형성시킨다.

- 두 번째와 세 번재 서열 포지셔닝은 항상 의도적이다. 특히, 암묵적인 첫 번째 서열 포지셔닝이 발생 할 때 의도적이다.


+ 의도적 포지셔닝의 4개 카테고리

(1) 신중한 자아 포지셔닝 deliverate self-positioning

한사람이 개인적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모든 대화에서 발생한다. 즉 사람들은 스스로를 다른 사람에게 표현하고 싶은 방식대로 다르게 이야기를 발화한다.

(2) 강요된 자아 포지셔닝 forced self-positioning

자아 포지셔닝에 대한 동기 측면에서 신중한 자아 포지셔닝과 다르다. 종종 사회institution내에서 발생하는데, 개개인은 분류되어서classfied, 조직 내에서 그들이 기대되는 행동 방식으로 스스로 행동한다는 것이다.

(예) 사서가 묻는다. “당신은 학생입니까?” 이는 학생 혹은 학생아님이라는 것으로 개개인을 포지셔닝화하는 것이다.

(3) 타인의 신중한 포지셔닝 deliverate positioning of others

포지셔닝된 개개인의 존재 혹은 부재 둘 중에 하나 일 때 발생한다. 즉, 그 사람이 존재할 때, 이것은 특히 도덕적 비난의 형식을 취한다. 반면,  그 사람이 부재할 때, 이것은 가십의 형식을 취한다.

(4) 타인의 강요된 포지셔닝 forced positioning of others

포지셔닝된 개개인의 존재 혹은 부재 둘 중에 하나 일 때 발생한다. 즉,  제 3의 집단party이 개개인의 포지셔닝과 관계하여 그/그녀에 대한 포지셔닝을 강요하는 것이다.

 

 


적용연구 사례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은

1) 다양한 연구 맥락에 이용 : 건강, 교육, 사회 심리학,

2) 인간 서비스를 증진시킴


+ LIS에의 적용

- Given(2000, 2002)

성숙한 대학 학생들의 사회적 아이덴티티와 아카데믹 정보 행동에 대한 연구에 적용한다.

정보적 목적을 연구하는데 있어, 학생들의 활동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추론적 포지셔닝의 영향을 발견한다.

(예) 어린 고등학교 졸업생으로서 모든 대학생의 암묵적 포지셔닝은 역으로 성숙한 학생의 정보 추구 전략에 영향을 끼친다. 교실에서 아웃사이더로서 대학생의 의도적 포지셔닝은 동료/선생님과의 상호작용을 침묵시킨다.

- McKanzie & Carey (2000)

정보 추구를 위한 내과의사와 환자의 추론적 구성개념의 관계implications를 연구


==> 사회적 포지셔닝 이론의 LIS 적용은 충분히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요 reference

Hollway, W. (1982) Identity and gender difference in adult social relations. Unpublished s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ndon, England.


Hollway, W. (1998) Gender defference and the production of subjectivity. in J. Henriques, W. Holleay, C. Uwrin, C. Venn & V. Walkerdine (Eds.) Chanding the subject : Psychology, Social Regulation, and subjectivity (pp. 227~263). London : Routledge.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