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3일 월요일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 : 60. The Socio-cognitive theoty of users situated in specific contexts and domains

 ※ 아래의 글은 서울대학교 Human Information Behavior 수업의 교재였던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의 일부 챕터를 번역, 발제한 내용입니다.

 

 

60. The Socio-cognitive theoty of users situated in specific contexts and domains

 

 

 

개념정의 및 역사

- 정보 과학의 분석 단위로서 개개인에게 도메인 분석 이론(DA)은 사용자 개인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였다. 이를 사회 인지 관점이라 한다.

+ 기본적 가정

- 작은 아이들의 인지는 주로 생물학적 원칙들에 의해 결정된다.

- 아이들이 언어와 상징을 배울 때,  신호들signs, 의미meaning, 상징들symbols은 인지적 과정을 매개하고 개개인에게 내재화된다.

-> 이는 결국, 인지 과정이 작동하는 방법을 재프로그램화 한다.reprogram

     - 신호들과 상징들 시스템의 외재화를 문화라 일컫는다. 따라서, 문화적특수성   culture-specific, 사회적특수성, 도메인특수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 사회인지 관점에서의 정보 사용

     - 부분적으로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된다.

       예.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음악에 대해 다른 사람보다 많은 정보 가짐

     - IR과 관련해서는, 주요하게는 문화적 요인에 의해 결정(심리학적을 논증됨)된다.

       예. 지식 도메인 내 ‘패러다임’ 혹은 도메인

     - 주제에 대한 보고서를 위한 정보 탐색시 관련기준은 연구자가 속하거나 동의하는 이론theory, 전통tradirion, "패러다임 "에 의해 결정된다.

       예. 정신분석학자는 정신분석학 논문을, 인지학자는 인지학논문을 더 선호

     

+ 사회인지학적 관점과 전통인지과학적 관점의 차이

- 인지에 있어서 문화와 사회의 역할에 대한 차이가 존재한다.

     - 초기 인지 과학에서는 이를 과소평가한다.

     - 사회인지학적 관점에서는, 미론적/실용적 연구가 아젠다로서 재등장한다.


=> 사회인지학적 관점은...

     1) 신호들signs와 상징들symbols을 문화적 생산하는 내재화를 강조

     2) 문화적/역사적/사회적으로 구축된 의미에 의한 인지과정의 매개방법 강조


- 도메인 분석은...

     -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인식하지 않는다.

     - 그러나,사용자를 다른 문화/다른 사회적 구조/다른 지식 도메인에 속한다고 봄

       정보 생산자, 매개자, 사용자는 공통적 언어/풍속/정형화된 커뮤니케이션 관습을

       공유하면서 공동체내에서 서로 연결된다.


==> DA와 사회인지적 관점은 실용적 현실주의pragmatic realism에 기반한다.

==> 정보과학에서 실용적 현실주의의 의미 :  객관적/주관적 지식 사이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 연구는 주관적 지식 연구로 이동한다.

 

 

USIST 모델

+ 사용자

     -  사용자는 주관적 지식의 기본아래에서 정보추구한다.

     -  탐색에 있어 객관적 가능성과 친숙할 수도/ 안할 수도 있다.

        예. 사용자가 인용 색인를 모를 경우,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탐색 기회를 놓친다.

+ 정보과학자

     - 사용자의 정보 추구 활동을 연구할 때, 정보과학자는 객관적 가능성에 대한 지식에 기반하여 그러한 연구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 정보과학과학자는 검색엔진, 인용 인덱스, 시소러스thesaurus 등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사용자 보다 잘 알아야 한다.

       = 이에 대한 객관적 가능성의 모델이 곧 UISIST이다. 

             - 이 모델은 정보과학자의 주관적 관점에 기반하고,

             - 과학적 보고서에서 반드시 소개되어야 하고, 토론되어야 하며 정제되어 나타난다.

 

 

강점/약점

도메인 분석은 정보행동 연구를 위한 주요 의미를 가지는 정보과학으로의 접근

+ 강점

     - 전통적 인지 관점과 비교하여 인지과정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믿음적인 이론을 표상한다.

     - 그 결과, 사용자의 다양한 그룹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한다.

+ 약점

     - 사용자 연구를 수행하는데 더욱 어렵다. 왜냐하면, 객관적 탐색 가능성의 모델을 기반으로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주요 reference

Fjordback Sondergaaed, T., Andersen, J. & Hjorland, B. (2003). Documents and the communication of scientific and scholarly information : revising and updating the UNISIST model. Journal of Documentation, 59(3) 278~320


Hjorland, B. (In press) Domain analysis in information science. In M.A. Frake (Ed.), Encyclopa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nd ed.) New York : Marcel Dekker.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