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The Domain Analytic Approach
to Scholar`s Informaion Practices.
역사 및 개념정의
- 도메인 분석domain analytic 용어 : 도메인domain을 분석의 기본적 단위
- 1930년대 : 다양한 영역에서 학자의 정보관습에 대한 사회 과학 연구 시작
- 1958년 : <과학정보에 대한 국제 컨퍼런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tific information>에서 이 분야에 대한 많은 고전적 논문 발표
+‘도메인 분석domain analstic’ 연구의 고전
- Diana Crane(1972) Herbert Menzel(1959) Thomas Allen(1977) 등의 연구
- 이유 : 학자정보관습을 학과적 차이(disciplinary differences)의 맥락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창출했기 때문
- 목적 : 학자 공동체 연구/커뮤니케이션 관습에 대한 心身일체적 이해 형성
- 최근 : 학자정보관습에 대한 설명을 위한 보다 시스템적인 도메인 분석 접근domain analytic approach의 발전은 아직 요람기 수준
+ 학자들의 작업과 정보관습에는 주요한 영역 차이 major field difference가 존재한 다는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Kling & Covi 1997, Kling & McKim 2000) 이 차이 의 기초가 되는 다른요인/인신론적 요인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발전시키려는 연구시 도는 거의 없기에 필요
주요 학자별 연구 내용
+ Hjorland (2002)
- 정보관습의 가장 일반화가능한 설명적 모델로서 인식론적 방법 epistemic school을 제시한다.
- 4개의 인식론적 방법 epistemic school을 구분하는데 아래와 같다.
- 경험주의 empiricism
- 이성주의 rationalism
- 역사주의 historicism
- 실용주의 pragmatism
- 어떤 종류의 지식이 각각의 방법school에 관련/적절하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예. 역사주의 방법은 이론들에 관한 선이해적 배경 지식으로 역사적 발전과 진화적 관점을 제시한다.
- 인식론적 방법epistemic school을 특정 영역에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4개의 구분은 1) 각 방법school 내에서의 연구 특성 차이에 대해 알려주고, 2) 정보추구의 일반적 맥락에 대해 알려준다.
- 인식론적 방법에서, 학자의 정보 관습은 상호적이고 다양한 교육disciplinarity의 정도와 영역크기field size 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Talja and Maula (2003)
- 4개의 영역(역사, 간호학, 환경생물학, 문학/문화 연구) 전 분야에서의 데이터베이스와 e-journal의 사용과 적용에 대한 연구
- 다음의 상호연관적 도메인 요인에 의한 학자의 정보 추구 관습의 다양성 설명
- 영역크기 field size (문서와 관련한 영역의 밀도)
- 흩뿌림의 정도 Degree of scatter
- 기준criteria과의 주요 연관성(주제적/전형적paradigmatic)
- 책 대 웹상자료(?)article의 기원orientation
+ Bates(2002)
- 학자 탐색 방법의 다양성은 직접적으로 영역 크기 field size과 연관한다는 가정은Bates(2002)에 의해 발달
- 연구분야 주제와 관련한 자료materials 중 대다수
: Browsing에 의해 가장 잘 탐색됨searched
- 연구분야 주제와 관련한 자료materials 중 어느정도 수middling number
: 직접적 주제 Searching에 의해 가장 잘 탐색됨
- 연구분야 주제와 관련한 아이템 중 극소수
: linking(본 문서seed dacuments로부터의 연쇄작용chain)에 의해 탐색됨
- 주제 관련 자료의 결핍scarcity과 과잉이 존재하는데, 즉 직접적 Searcing을 비생산적 searching 테크닉으로 유도한다.
(직접적 searching는 1) 주제기반 검색search 2) 그때 자료는 색인indexing, 목록 catalog, 분류classfied 돼 있다)
- 결론 : 연구자들은 browsing과 liking 기술에 보다 의지한다.
+ Mote(1962)
- 낮은 흩어짐 도메인 / 높은 흩어짐 도메인 사이를 구분한다.
- 낮은 흩어짐 도메인
+ 잘 발달한 기본적 원칙들
+ 잘 조직된 문헌들
+ 잘 한계지어지고, 명확하게 정의된 주제 영역의 범위width
+ 예 : 적은 수의 높게 특화된 저널
- 높은 흩어짐 도메인
+ 모다 넓은 주제 영역
+ 다양한 연구주제의 보다 많은 수
+ 연구자의 관심과 문제의 관점에서 비도움적으로 조직된 문헌들
+ 예 : 몇몇 학문분야에 공헌되고, 많은 수의 다양한 저널에 출판된 자료들
+ 결론 : 상호적이고 복합적인 교육 분야는 전형적으로 높은 흩어짐 도메인이다. 왜 냐하면, 연구자는 반드시 모든 관련 자료들이 위치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를 거쳐야 cross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문학자는 연구 대상의 속성/기준 관련 문헌을 식별하기 위해 browsing과 chaining 방법을 종종 선호한다.
+ Talja Maula
- 주요 검색relevance 기준으로서 주제적 / 전형적 검색relevance를 구분
- 연구 대상/문제가 다른 관점들로부터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영역에서, 정보 탐색자는 공통적으로 그들의 search 전략을 conversarions 혹은 패러다임에 소속attach시킨다
- 이론들 혹은 방법론적 접근들에 대한 선택은 주제/현상과 관련한 자료들의 범위를 넓히거나 제한한다.
+ 이전 연구
- 책이 가장 지배적이고/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여겨지는 영역으로서, 책에 대한 선택 또한 ‘권위자 필터author-filter’(동일 의견의 동료들)에 의지하였다.
- 동료연구자들의 articles이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여겨지는 영역으로거, 이는 Scanning에 보다 의지하였다.
+ Talja Maula
- 작은 규모의 비교 질적 연구로서,
- 영역크기 field size, 흩뿌림의 정도 Degree of scatter, 기준criteria과의 주요 연관성, 책 대 웹상자료(?)article의 기원orientation 요인들에 기반하여 향후 연구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
- 이러한 요인들이 e-저널과 데이터베이스의 사용 페턴에 영향을 가할 것이라는 전반적 가정을 지지한다.
- 인문학자
- 드문 정도의 연구 영역에서 연구(예, Finnish 문헌)
: 매뉴얼과 웹브라우징과 정보 우연히 만나기를 주요 탐색 방법으로 사용
- 밀도높은 정도의 연구 영역에서 연구(예. 미디어/문화연구)
: 인지적 권위(책, 권위자)를 선택 / 단어와 연관한 linking을 통해 진행
의의
- 도메인 분석 접근은 1) 학자의 정보 관습에서 영역 차이의 중요성을 발견/식별하였고 2) 학문적 공동체를 지지하는 노력에 / 과학적 문헌에의 접근 증진에 도움을 주었다.
주요 reference
Talja, S & Maula, H. (2003) Reasons for the use and non-use of electronic journals and databases : a domain analytic study in four scholarly disciplines.
(http://www.emeraldinsight.com/Insight/ViewContentServlet?Filename=Published/EmeraldFullTextArticle/Articles/2780590603.html)
Bates, M, J. (2002) Speculations on browsing, directed searching, and linking in relation to the Bradford distribution.
Mote, L, J, B. (1962) Reasons for the variation of information needs of scientists.
Hjorland, B. (2002) Epistemology and the socio-cognitive perspective in information science.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