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26일 수요일
세미나 : Silver Light 07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6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5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4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3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2 (090806)
세미나 : Silver Light 01 (090806)
2009년 8월 20일 목요일
세미나 : EyeTracking 09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 Tracking 08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Tracking 07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 Tracking 06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Tracking 05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 Tracking 04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 Tracking 03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Tracking 02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세미나 : EyeTracking 01 (090804)
최근 사용자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Eye Tracking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지털정보융합과에서는 국내 최고의 User Research 컨설팅 업체인 Thinkuser를 초청하여 Eye Tracking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Eye Tracking 연구 방법의 이해 및 User Research에서의 활용 방안의 소개로 이루어지며, 직접 시연을 통한 Eye Tracking을 경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User Research나 Eye Tracking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2009년 8월 3일 월요일
『과학기술의 사회학 7. 과학기술 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 ‘합의회의’를 중심으로)
이영희, 『과학기술의 사회학』
7. 과학기술 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 ‘합의회의’를 중심으로)
1. 머리말
○ 과학기술 영역에서의 전문가정치expertocracy 사회 = 엘리트 주의
: 민주주의가 확장되면서도, 과학은 전문가들만의 지식이자 활동영역이라는 생각 지배적
○ 과학기술의 대중화 = 계몽주의
: (1) 무지한 대중을 위해 일방향적으로, (2) 과학기술의 권위를 구축하기 위해
대중에 대한 지속적 계몽과 설득 활동 요구
○ 우리나라
: 197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 추진
è 문제점 (1) 과학기술자들과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국민대중의 불신 고조
(2) 반과학기술주의적 정서 확산
2. 우리나라 과학 기술 대중화 정책
1)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의 전개
○ 1967년 과학기술처 발족 à 1973년 전국민의 과학화 운동
- 새마을 기술 봉사단 : 영농의 과학화 추진 à 유신시대 종말과 함께 소멸
- 국립과학관 : 과학기술 지식 보급, 생활의 과학화 촉진, 청소년의 흥미유발/창의력 개발
- 전국 학생과학관à 과학 교육원 : 청소년 과학 기술 인재 양성
-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 과학기술 대중화 사업, 과학기술 국민 의식 조사
- 과학기술 국민이해 협의회 : 민간 주도의 과학기술 국민이해 사업
2) 평가
○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 시대별 정리
- 1970년대~80년대 중반 : 국민 대중에 대한 단순한 계몽
- 1980년대 후반 ~ : 과학기술의 국민적 수용성 강화
- 1990년대 ~ : 국민대중 발언권 증가에 따른 정부의 대국민 직접 홍보
○ 문제점
- 사업추진 중추기관의 부재로 인한 비효율적/비체계적 사업 진행
- 피상적인 구호의 사업 多
- 정부부처간 사업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적/낭비 多
è 정리 : 산만하고 소극적이며 임기응변적이고 비효율적 전시행정 일환으로 추진
○ 근본적 문제점 =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모델
+ 원인 : 과학기술 대중화 정책의 엘리트주의적/계몽주의적 인식
(과학기술과 국민의 관계 = 교사-학생의 위계적 관계)
+ 결과 : 정책결과의 비효율성
(예 : 원자력 발전소 추가 건설에 대한 환경단체들의 저항, 핵폐기물 처리장에 대한 지역 주빈들의 불안과 정부에 대한 불신)
3. 대안적 모델 : 유럽의 시민참여 ‘합의회의’
○ 기술영향평가
: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제반 긍정적/부정적 영향들을 평가하여 부정적 영향들을 최소화 하기 위한 정책수단들을 강구하는 이론적/정책적 접근법(이영희, 1993)
- 엘리트주의적/계몽주의적 기술 영향평가
- 합의회의
○ 유럽의 ‘합의회의(consensus conference)’ 모델(1980년대~)
- 정의 : “선별된 일단의 보통 시민들이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논쟁적이거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과학적, 혹은 기술적 주제에 대해 전문가들에게 질의하고 그에 관한 전문가들의 대답을 청취한 다음 이 주제 대한 내부의 의견을 통일 하여 최종적으로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들의 견해를 발표하는 하나의 포럼” (Joss & Curant, 1994)
시민선별 전문가에게 질의 전문가의 대답청취 내부의견통일 견해발표 기자회견 주제선정
ð 새로운 형태의 기술영향 평가 방법
- 장점 : 보통사람들(lay people)의 견해 적극 반영
과학기술의 참여 민주주주의 제고 가능
1) 배경과 역사
○ 미국의 합의회의
- 1970년대 의료기술영향 평가의 한 방법으로 활용
(=합의도출회의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 실제회의에서 일반인들의 참여 배제
○ 유럽의 합의회의
- 1980년대 유럽으로 전파
- 일반인 패널 구성 à 구체적 회의과정에 실질적 참여
○ 유럽의 합의회의 발전 이유
- ‘구성적 기술 영향평가constructive technology assessment’의 흐름
- 과학기술의 대중화 운동
(1) 구성적 기술영향 평가
○ 1980년대 네덜란드/덴마크 중심의 ‘참여지향적’ 기술 영향평가
- 과정지향적 기술 평가 : 구성적이라는 의미가 곧 기술개발과정(construction of technology) 자체에의 초점을 맞춘다는 뜻
- 행위지향적(action-oriented)/사용자지향적(user-oriented) 기술 정책 가능 :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바람직한 기술발전의 방향 미리 설정/조정 가능
- 사전적/능동적proactive) 활동 : 다양한 분야의 이해당사자들 포함으로써 기술 개발 이후의 전략적 선택이 아니라, 기술 개발 단계에서의 사전적/능동적 평가 가능
○ 신슈페터주의 기술변화이론(기술경제학)과 기술사회학에 토대
- 기술변화이론 : 기술변화에는 다양한 변이 존재 가능하고, 변이들 사이의 선택은 기술 외부의 시장적/제도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기술변화과정에 정책적 개입 가능
- 기술사회학 : 기술변화는 그것과 관련한 사회집단/행위자들이 기술변화의 방향/내용에 상당한 영향력 행사 à 기술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일종의 사회적 과정(technology as a social process)
○ 구성적 기술영향평가의 참여지향적 성격 è 합의회의에의 영향
(2) 과학기술 대중화운동에 대한 반성
○ 과학기술 대중화운동 = 계몽주의적 접근
- 1985년 : 왕립협회(Royal Society)의 보고서로 본격화
- 1994년 : 영국 과학기술 정책의 한 부분으로 공식 언급
○ 전통적 과학기술 대중화 운동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 합의회의
2) 절차와 진행
○ 절차
① 선발된 일반인들에게 관련 주제의 지식과 정보 제공
이들이 전문가들에게 질문할 항목 만드는 데 필요한 도움 제공
② 회의단계 : 다양한 전문가 의견 청취 및 취합
③ 전문가 의견 평가를 기초로 정부가 취해야 할 행동들을 권고 형태로 제출
권고 : 특정 주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태도/기대/우려 등을 의사결정자들에게 전달
④ 마지막 보고서 : 전문가 지식과 일반인들의 상식이 혼합된 형태
○ 진행
① 조정위원회(steering committee)
- 회의시작 6개월 전 구성
- 합의회의의 전반적 기획과 검토 업무 담당
- 1인 프로젝트관리자 : 프로젝트의 일상업무 총괄적 관리
- 2~4인 조정위원 : 전문적 지식/네트워크 겸비, 상이한 견해 보유자로 구성
ⓐ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 토론
- 구체적 진행과정/역할/장단점 토론
à 조정위원회 역할 정의, 시간계획서 작성, 이해관계 당사자 리스트 작성
ⓑ 주제에 대한 개요/소개자료 제작
ⓒ 신문/방송을 통한 합의회의 개최 홍보 à 일반인 참여 권유
② 일반인 패널 구성 :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부합하는 15~20인
- 토의 주제에 대한 전문적 지식인 / 이해관계 당사자 배제
ⓐ 1회 예비모임
- 토의주제에 대한 광범위한 난상토론(brainstorming)
à 본회의시 질문 정리(8~10개)
- 본회의 전문가 패널 구성 토의
ⓑ 2회 예비모임
- 심층적 내부 토론 à 최종 질문 결정
- 전문가 패널 확정
③ 합의회의 개최
ⓐ 전날 저녁 : 일반인 패널 마지막 예비모임 개최해서, 질문내용 명료화 및 정보 교환
ⓑ 본회의 1일 : 일반 패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술
ⓒ 본회의 2일 : 반대심문적 성격의 질문과 응답 + 방청객의 질문 가능
④ 일반인 패널의 최종 보고서 작성
- 일반인 패널이 도달한 결론, 정책적 권고사항, 향후 연구 내용 등
- 합의 도달 이슈 정리 / 합의 미도달 이슈는 다수자와 소수자 의견으로 나누어 정리
⑤ 본회의 3일
- 최종보고서에 대한 토론
- 최종보고서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배포
3) 평가
○ 합의회의 결과가 과학기술 정책형성과정에 미친 영향 평가
- 직접적 영향 : 언론 관심 유발 정도 평가
실제 정책에의 반영 평가
- 간접적 영향 : 장기적으로 의회와 행정부에 영향
정책결정의 민주화에 기여
○ 합의회의에 참가한 사람들의 사고에 미친 영향 평가
○ 과학기술 대중화의 새로운 모델
사회적 학습 정책결정 사회적 지지 대중 참여 대중화
4. 맺음말
○ 합의회의의 장점
- 과정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과학기술의 대중화 촉진
- 기술적 어려움은 일반인의 참가를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크지 않음(Joss & Durant, 1995b)
- 일반인 참여에 기초한 정책 결정의 정책 실행 효율성 高
- 사회적 토론과 논쟁의 절차에 대한 사회적 비용 상쇄, 이를 사회적 학습의 확산과정으로 보는 시각으로의 전환 요구(Grin & van de Graaf, 1996)
○ 우리나라에의 적용
- 현실적 이유 : 과학 기술 대중화 정책의 낮은 실효성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사회적 분신 증가
- 기존의 대중화 정책들과 병행해서 참여적 합의회의 추진 가능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Ⅱ. 행위자-연결망 접근 Michel Callon, 전기 자동차와 만들어지고 있는 사회
※ 아래의 글은 H+S 프로젝트 중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중 일부를 발제한 내용입니다.
『과학기술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Ⅱ. 행위자-연결망 접근
Michel Callon, 전기 자동차와 만들어지고 있는 사회
○ 본 글의 목적
: 기존의 사회과학자들은 기술에 관한 연구 그 자체가 사회학적 분석의 도구로 변형될 수 없다고 여겼으나, 본 글에서는 이것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 그 효과
: 사회과학 방법론의 영역을 넓히고, 기술발전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 기초개념
○ ‘엔지니어-사회학자’(engineer-sociologists)
: 여러 형태의 가설과 논증을 세우는 엔지니어들을 사회학적 분석의 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용어
● 혁신에 대한 3가지 관점
1) 혁신에 관한 선형 모델 : 아이디어 탄생(발명)d로부터 그것의 상업화(혁신)에 이르는 순차적 단계를 통해 기술발전 묘사
2) 혁신을 바라보는 2가지 과점 (최근)
: 기술과 시장 사이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피드백 과정과 중첩 과정이 중요하다는 인식 팽배하고 있으며, 그 결과 2가지 관점이 존재
① 혁신과정 동안에 나타나는 기술적/과학적 형태를 띠는 국면(혹은 활동)과 경제적/상업적 논리에 의해 이끌리는 국면(혹은 활동)에 대한 구별이 가능하다는 주장
예. 혁신과정 초기에는 기술과 관련한 문제를 풀어야 하고,
혁신과정 중/후기에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려 필요하다는 인식
② 기술적, 과학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고려들이 유기적인 전체 속에서 시기에 관계없이 서로 얽혀서 발생한다는 주장
엔지니어-사회학자 (전기자동차 VEL 개발 과정 서술)
○ 전기자동차 프로젝트
- 1970년대 초 EDF(Electricite de France)내 엔지니어 집단에 의해 처음 제안
- 정부기관 출연금으로 프로젝트 시동/구동
-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과학적 문제 극복 가능하고, 그 결과 프랑스 사회 구조가 급격하게 변할 것이라 추측 ==> EDF 엔지니어들의 역할은 엔지니어인 동시에 사회과학자 모두 수행
● 전기자동차의 구성요소
- 전극 사이를 힘들이지 않고도 가볍게 이동하는 전자
- 자동차라는 상징을 서부하고 대중교통수단에 투자할 준비가 갖추어진 소비자
- 소음 공해의 허용기준에 대한 규제를 부과하고자 하는 생활수준향상부처(ministry of the Qualty of Life)
- 차체 제조업체로의 전환을 수용하고 있는 르노
- 성능이 향상되어온 납축전지
- 진전되고 있는 후기산업사회
● 결론
- 엔지니어들은 전기자동차 개발/발전을 위해 스스로가 등록시키민 존재자들의 목록과 그들이 참여하고 있는 역사를 결정했고, 존재자들의 상대적인 크기까지도 결정한다.
- 엔지니어들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활용하여, 기술장치 개발과 사회학적 분석을 고안하고 시험한다.
○ 과정 (= EDF 엔지니어들의 역할)
1) 과학과 기술이 사용자를 위해 봉사한다는 관점과 자동차 사용이 하나의 소비양식을 구별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거부하려는 관점을 전기자동차를 통해 관철하려 함
- 과학/기술적 문제로서 내연기관(과거)의 단점 제시 : 대기오염과 소음 발생
- 사회적 문제로서 자동차의 역할 부각 : 자가용은 신분의 중심적인 요소를 구성하여 소비사회와 연결됨
- 전기 추진(현재)의 장점 : 자동차를 단순한 대상으로 만들어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시에서의 삶의 조건을 향상시킴
2) 전기화학 발전기의 출현으로 내연기관이 사라진다고 예언하고, 새로운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기존사용자의 요구를 무시함으로써, 사회의 역사와 기술의 역사를 정의하고, 전기자동차의 제작을 책임지게 될 대규모 제조업체를 규정
- CGE : 전기 모터 및 제세대 전기 개발, 납축전지 완성
- 르노 : 차대 조립, 차체 생산
- 정부 : 지원
- 연구센터의 과학자들과 도시 교통시스템 운영 회사
3) 과학적 요소들 포함시킴
: 아연/공기 축전지, 납축전지, 촉매나 전자와 같은 구성요소를 수반하는 연료전지
사회학과 소비의 문제
: EDF엔지니어들과 같은 질문을 던졌던 사회학자들에 대한 설명
- 1973년 프랑스 사회는 실제로 어디로 가고 있었는가?
- 전통적인 자동차에는 어떤 운명이 닥쳐오고 있었는가?
● 뚜렌느(Touraine, 1973; 1979)의 후기산업사회
- 사회학을 작동시키고 그것의 역사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계급대립의 역할을 강조하는 사회학 전통
- 기술발전이라는 새로운 요소에 집중하며서, 대규모 조직체와 소비자의 대립 강조
① 대규모 조직체들(대기업과 연구개발기관 등) : 기술의 응용을 규정하고 지배하면서 과학연구의 방향을 설정
② 소비자 : 소비자의 요구와 열망은 대규모 조직체를 경영하는 기술 관료들에 의해 조종 받음
--> 결과 : 기술관료의 권력 혹은 사회경제적 발전의 방향에 도전하는 사회운동들의 탄생
● 부르디외(Brourdieu, 19790; Brourdieu and Darbel, 1966; Brourdieu and Passron, 1970)
-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뚜렌느의 대규모조직체와 소비자들)은 교환과 종속의 상호관계를 유지하여 다양한 전문 영역들(정치의 장, 과학의 장, 소비의 장 등)을 형성
- 각각의 장들은 권력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사회 행위자들이 사회계급을 형성하면서 서로 전략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장소
- 사회 계층화 이론의 본질적인 개념 제시 : 구별(distinction), 분화(differentiation), 유동성(mobility)
● 뚜렌느와 부르디외의 공통점 : 분석의 중심에 소비의 문제를 놓는다.
- 뚜렌느 : 수요와 필요에 대한 정의에서 새로운 계급 대립이 출현하는 장소로서 소비를 바라봄
- 부르디외 : 재화와 용역은 그것들의 내재적인 특성과 상관없이 소비자들에 의해 불가피하게 사회적 구별의 논리에 편입된다는 과점을 강조
● 뚜렌느와 부르디외의 차이점 : 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근본적으로 상이한 해석을 내린다.
○ 자동차와 자동차의 미래에 대한 분석의 예
- 뚜렌느 : 자동차는 기존 사회의 상징이자 주춧돌이기에 후기산업사회가 도래하면서 사라지는 대상이다. 사회운동가들은 자동차의 소멸을 예상/주장하고, 기술관료들과 정책결정자들은 자신들에 대한 지지를 획득할 목적으로, 사회운동가들의 주장에 찬성한다. 그 결과, 전기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기술의 출현은 사회운동과 기술관료조직에 의해 지지된다.
- 부르디외 : 자동차는 기존 사회의 상징이자 주춧돌이다. 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기술에 의해 소멸되기 보다는, 오히려 현실적인 전략으로서 점차로 변형되어가고 분화되어 간다.
누가 옳은가?
● 뚜렌느의 이론을 따르는 EDF 엔지니어-사회학자 VS 부르디외의 이론을 따르는 르노 엔지니어- 사회학자의 대립
- EDF 엔지니어-사회학자 : 기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 자동차 시장으로의 혁신 가능성 기대
- 르노 엔지니어-사회학자 : 전기자동차로의 혁신에 대한 회의 시작
● 결과 : 각각은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 창출이 필요
● 과정
○ 초기 3년
- EDF 엔지니어-사회학자는 스스로가 옳다고 믿었고, 이에 르노 엔지니어-사회학자는 침묵을 지킴
○ 3년 후 : 전기자동차 개발/발전의 전환 발생
- 촉매 : 가격이 저렴한 촉매는 빨리 더러워져서 연료전지가 쓸모 없어지는 사태 발생
- 시장 : 전지 가격이 비싸서 대중시장을 형성하기에는 역부족
- 르노의 의문 제기 : 아연/공기 축전지의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
=> 결과
- 1980년대 성능 개선 전통 자동차의 부활
- 후기산업사회의 도래(전기자동차로의 혁신)가 아닌 재산업화reindustrilization(기존자동차의 성능개선)으로의 전개
● 시사점
- 엔지니어-사회학자가 사회학자의 이론에 관심을 가졌듯이, 뚜렌느와 부르디외 같은 사회학자 역시 엔지니어-사회학자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사회학자들은 서로 대립하고 있는 분석들을 발전시킬 때, 아무런 문제없이 공존하는 한계를 가진다. 엔지니어-사회학자에게는 대립하는 두 개의 기술/가치가 공존할 수 없다.
행위자-연결망
● 정의
- 행위자-연결망은 생명체이건 비생명체이건 어떤 기간동안 서로 연결되어 있는 이질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Cowan, 1997)
- 전기자동차의 예에서는, 전기자동차 프로텍트에 관련한 상이한 존재자들 즉, 전자, 촉매, 산업체, 소비자가 그 요소들이다.
● 사회학의 전통적 행위자와 구별점
- 전통적 행위자 : ① 일반적으로 인간 아닌 구성요소는 제외되었고,
② 행위자의 내부구조가 연결망의 구조에 동화되는 경우도 드물었다,
- 행위자-연결망 구성 존재자 :
① 상시적으로 자신의 정체성과 상호관계를 새로운 방식으로 재규정 가능했고,
② 새로운 요소가 지속적으로 연결망 속으로 들어올 수가 있다.
● 전기자동차의 사례
: 행위자-연결망의 특이한 역동성을 ‘단순화(simplication)와 병렬배치(juxtapositiono)’ 2가지 매커니즘으로 저자는 설명
○ 단순화 : 이질적 결합을 조직하는 데 필요한 첫 번째 요소
- 무한히 복잡한 존재자 세계를, 특성 혹은 속성이 잘 규정된 일련의 구별된 존재자들로 제한
- 예 : 도시에는 실제로 여러 가지 존재자(대중교통수단, 시의회 등)가 존재하지만, DEF 엔지니어들은 도시를 오염 수준이 낮아야 하고, 교통시스템이 발전되어야 하는 시의회로 환원시킴
○ 병렬배치 ; 엔지니어들의 구성 작업이 작동할 수 있는 조건을 규정
- 존재자들의 이질적 결합은 응집성, 일관성, 그리고 (결합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관계의 구조를 가지는 것은 병렬배치에서 비롯
- 결합을 구성하는 존재자들이 이질적일 뿐만 아니라, 그 관계 또한 이질적
(예. 연료전지와 전기자동차 사이의 관계를 교환/권력/지배 관계라는 사회학 용어로만 설명할 수 있을까? - 없다)
- 상호관계적 구성요소는 연쇄사슬의 한 부분으로서, 개별자로서의 적절한 기능과 전체로서의 적절한 기능을 수행
○ 행위자는 서로 연결망을 형성
- 하나의 행위자는 다른 행위자들과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특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
- 각각의 행위자는 다른 행위자들을 소환하거나 징집하기 때문에 단순화는 하나의 행위 수단으로 자리매김
- 각각의 행위자는 침묵하는 다수의 행위자들로부터 세력과 신용을 유도하여, 강력한 힘/권력을 꾀함
- 그 결과, 연결망은 구성요소들 사이에 결속력이 존재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각 요소가 단순화된 연결망을 구성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
○ 행위자-연결망의 변형 : 행위자-연결망을 구성하는 상이한 요소들의 저창을 시험하는 것에 의존
새로운 방법론적 도구
● 엔지니어들의 사회학과 사회학자들의 사회학 비교/대조
- 엔지니어들의 사회학 : 사회학적 고려와 기술에 대한 고려가 서로 뒤엉켜 있음
- 사회학자들의 사회학 : 사회학적 고려와 기술에 대한 고려가 엄격히 분리
=> 저자는 사회학자들의 사회학보다 엔지니어들의 사회학에 더 관용적
: 기술에 대한 연구를 사회학적 분석의 도구로 변형시키는 작업과 연결하기 위해
○ 탐구의 도구들
- 주제측면 : 엔지니어-사회학자들이 관련되어 있는 논쟁
- 방법측면 : 사회학자들의 전통적 연구방법 사용가능(표본조사, 면담조사, 여론조사, 참여관찰, 통계분석)
- 탐구자측면 : 현신자들의 탐구와 계획에 대한 추적을 통해 가능
●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의의
- 결합된 존재자들의 목록은 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범위를 초과하고, 목록의 구성 또한 확정적인 규칙도 없음
- 이미 확립된 사회적 범주와 사회/자연의 엄격한 구분으로 사회학적 분석틀을 제한하려는 시도에 대한 저항
- 사회학적 분석에, 엔지니어들과 동등한 자유를 가지고 엔지니어들이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반 제공
● 기술시스템보다 행위자-연결망에 주목/선호하는 이유
1) 기술 시스템을 고안하고 발전시키는 데 연루된 엔지니어들은 과학 및 기술에 대한 분석을 사회학적 분석과 영구히 결합 가능
- 행위자-연결망 한가지 개념을 통해 발명의 첫 단계와 시장의 제도화 단계 모두 설명 가능
- 행위자-연결망은 특정 시기에 발생한 연합과 상호작용할 뿐만 아니라 이후에 발생하는 모든 변화와 발전을 포괄하고 묘사 가능
2) 행위자-연결망 이론은 시스템 개념에서 어떤 변화를 외부적 요인의 탓으로 돌리는 환원론적 관점의 방법론적 문제점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