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7월 26일 일요일

호사가와(SHUHEI HOSOKAWA,1981)의 <워크맨 이펙트(The walkman effect)>

 

※ 이 글은 호사가와(SHUHEI HOSOKAWA,1981)의 <워크맨 이펙트(The walkman effect)>를 번역/발제한 글입니다.

 

 

SHUHEI HOSOKAWA (1981) The walkman effect

 

# 워크맨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 : Nouvel Observateur 보고서

■ 워크맨 :  

▷ 정의 : 헤드폰으로 듣는 카세트 레코더

▷ 발명 : 1980년 봄 일본 소니에 의해 최초로 개발/거래 à 서방으로 수출

▶ 워크맨 사용 증가 à 워크맨의 효과에 대한 논쟁을 촉발

   + Philippe SollersNouvel Observateur 보고서

             - 18~22세 에게 질문 :       - 워크맨을 가진 타인이 사람인지 아닌지

                                                     - 그들은 현실과의 접촉을 잃어버리는지

                                                     - 눈들과 귀들 사이의 관계는 급진적으로 변화하는지

                                                     - 그들이 정신병 혹은 정신분열증인지

                                                     - 그들은 인간성의 붕괴fate에 대해 걱정하는지

             - 인터뷰이들 중 한 사람의 대답 : 질문 자체가 시대에 뒤떨어짐

                                                     -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케이션불가incommunicability의 문제 = 60~70년대

                                                     - 80년대 의 담화 구성 : 특이성siguarities의 교차 & 자율성autonomy

             è 앞으로 : 집에서 모든 종류의 영화를 비디오로 가질 것

                                         모든 종류의 클래식 음악을 하나의 테이프에 가질것

 

# 워크맨에 대한 문화적 도덕주의자의 시각

□ 초기 : 사람들은 자연과의 조화 내에서 행복한 삶 영위

   à 산업화와 도시화와 도래 : 최근 10, 자연과의 건강한 관계 소원

   è David Riesman외로운 군중 : 커뮤니케이션불가

     ▷ 워크맨  : 대중 통제의 구조 아래, 젊은 사람들의  자아-울타리self-enclosure와 정치적 무관심apathy 증가

     ‘cultural moralist' (Umberto eco) : 신기한 것(워크맨)을 규범적 인식론적 시스템에 맞춤

                                                         새로운 것에 의한 사회문화적 변화를 설명 불가/명확화 시도 거부

                                                         새로운 것 = 괴짜 or 부적절

 

# 워크맨의 의의 : 자율성, 도시전략, 도시 소리/음악 도구

■ 워크맨 ≠ 자율성의 효과/원인

             ≠ 자율성 실현/야기

             = 자율성

             = 스스로 걷는 자의 자율성autonomy-of-the-walking-self

 J-F Lyotard : ‘포스트모던시대의 자아위치에 주목

              자아the self는 작지만 고립되지 않는다. 자아는 전보다 이동적이고 복잡한 관계의 본질texture에 놓여있다. “

▶ 워크맨 : 자율적/이동적인 기생/공생하는 자아를 표상

à 그 결과, 워크맨 = + 도시의 실용적/의미론적 변형 내에서의 영향-사건effect-event

                              + 영향effect(인과관계적 의미가 아닌)으로 분석

                              + 도시 그 자체에 대한 반영 : 도시전략, 도시 소리/음악 도구로서 워크맨

 

 

1. Musica Mobilis(Music Mobilis) 음악 모바일

# 음악 모바일 정의/출처cource

Musica moblils 정의 : Musica moblils = 뮤직

Musica moblils source + 자발적으로/비자발적으로 하나의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

                                       + source 소유자()의 신체적corporal 변형에 의한 통합의 방법으로 이동

# 워크맨의 역사

■ 워크맨의 역사 : + 4개의 연속적이고 축적하는 단계로 묘사

                           + 네 번재 단계는 앞의 세 단계와는 차단되지만 그것들과 함께 존재

(a) 도시적 삶의 경향 : 도시에서는, 음악과 소음사이의 명확한 경계가 불분명

             + 음악은 소음이 되고 : 몇몇 사람들을 위한 쥬크박스의 커다란 소리크기

             + 소음은 음악이 되고 : Thomas Weekes Luciano Berio Cries of London,

                                            Dizzy Gillespie Salt Peanuts

             + Oriental 마켓에서 판매자의 목소리 = ‘시끄러운 음악noisy music’ 혹은음악적 소음musical noise’ (Bosseur 1977)

             è 관찰자들에 따라 음악 혹은 소음으로 간주

                음악의 대부분 : 미학적 의식동기 없이 제작

                                         음악이 아닌 것을 만드는non-music-making (승진을 위한, 판매를 위한 등)행위들의 결과물

             è 소음과 음악이 함께 산다live together는 것을 보여줄 뿐 (Musique en jeu 1976).

(b) 도시는 거리 음악가street musicians 자양분 공급. :

             - 거리 음악가 : 지하철 혹은 거리의 코너에서, 돈을 벌기위해 연주

             - 몇몇 사람들은 그저 지나치고, 다른 사람들은 멈춤

             à 2 개의 그룹 형성 : 음악가와 지나가는 청중

                           + 안과 바깥의 시간을 공유 à 사회적 삶 속에서 잃어버렸던 관계links를 회복시킨다는 느낌 받음

                           + ‘서로에게 돌아서기때문에 서로 연결

                          + 서로bi-directionally 반응하고커뮤니케이트

                           + 서로를 향하는 관계mutual tuning-in relation : 일시적이더라도 유지

                           + 음악을 만드는making-music-together Schutz의 세계에 공존 (Schutz 1964, 1976; Prato 1983).

(c) 도시에서 뮤직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 = 테크놀로지적악기instruments’를 통해 음악 듣기

             + 거리에서 이동 가능한 라디오 (혹은 카세트) 리스너 : 걸으면서 음악 퍼뜨리기.

             + 지나가는 사람 : 잠시 동안이라도 음악을 듣는 일에 참여

             + 때때로 두 개 혹은 세계의 기계가 거리를 교차 à 다른 곡tunes들 들림

             ▷ 특징

             + 사람들은 항상 그들의 안과 바같의 시간을 공유하지는 않음

             + 타인과 커뮤니케트하지도 않고도 타인을 감동시키지 않고도 à 바깥, 측정가능한 시간을 항상 공통적으로 보유

             + 함께 음악을 듣는 세계listening-to-the-music-togeter에 살고 있는 듯

             ▷ 예. 카 스테레오 시스템 (혹은 라디오)

                           + 이러한 유형의 변형체 중 하나

                           + = ‘고정된 자동차혹은영원히 주치된 공간area’

                           + 차고 = 집을 차의 길에 고정시켜놓은 장소

                           + 자동차 라디오 = 사회와 개인 삶 사이의 매개자intermediary

                                                      반사회적semi-social /혹은 반인간적semi-personal로 고려

                           è 가족family

                           + 만약 한 사람이 그것을 켜면, 다른 사람(‘가족’) , 어쨌든, 듣거나/들리거나here/listen 강요

                           à거리에서 듣는 사람street listening man’

                           à거리에서 듣는 사람street listening man’과의 차이점 : 가족은즐겁지 않으면, 음악 멈춤 가능

(d) 워크맨 리스너

             + 음악을 홀로듣는 세계listening to music alone에서 발견

             + 실제로 살고 있는 세계 바깥과의 청각적 연결을 끊어버리는 듯

               à 듣기의 완벽한개인적zone을 갈구

               à 워크맨 리스너 = 음악을 듣기 위한 가장작고, 움직이고, 똑똑한 단위minimum, mobile and intelligent                                                        unit(Robert Fripp)

             + ‘부가적 기능 들의 확산이 발전하더라도 à 워크맨 = 개인 리스닝을 위한 최종적 물건object

 

 

 

2. Technological regression 테크놀로지적 퇴보

 

#  ‘praxeme'의 승리로서 워크맨 = 과학 혁명

□ 이동가능한 라디오-카세트 혹은 카 스테레오로부터 워크멘으로의 진보

+ 테크닉적으로 테크놀로지적 시각에서는 지엽적minor = 눈에 띄는퇴보devolution’

             - 이유 : 워크맨은 레코닝 기능과 스피커가 없는 카세트 레코더이기 때문

                           테크놀로지적으로 보다 단순한 물건

             - 일밙거 경향 : 물건의 테크닉적 발전 = 기능적 다중화multiplication

                                                                     물건의 한 유형이 두 개의 것을 동시적으로 수행

                                                                     à 사용자는 그것을 보다 편하다고 생각

             è 워크맨은 예외

                           + 기능적 감소과 테크놀로지적 퇴보regression를 표상

                           + 소니 회장 ‘praxeme' 강조 VS 기술부서 ‘techneme’ 단계 강조 à ‘praxeme'

             à 재기능화refunctionalisation 과정

                           + 비슷한 장치에 비슷한 이름을 붙인(Walky, Cassette Boy...) 많은 경쟁없체(Toshiba, Aiwa, Philips. . .)등장

             è Kuhn의 과학 혁명scientific revolutions(패러다임 변화와 일반 과학의 관계)

                           + 기술성 때문이 아닌 실천성 때문에 야기되는혁명적효과로 인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성

                           è손 안의 물건(object at hand)’으로서 워크맨

 

3. A walking gadget 걸어다니는 장치

# 워크맨의 특징 : 소형화, 특이성, 자율성, 구축화/탈구축화

■ 워크맨의 특징

(a) 소형화miniaturization
             +
더 작아지고, 휴대성은 더 좋아짐

             + 테크놀로지의 역사에서 최우선으로 달성해야만 하는 목표

             + 과거 기기들의 차지로 인해 빼앗겼던 공간을 사용하도록 허락 (라디오나 그라모폰)

             + 이동성의 증가 : (1)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2) 도시적 삶의 방식의 전략에 기여

               . 휴대용 라디오와 카 스트레오, 워크맨

                           - 과거 : 실내에서만 가능했던 경험 à 현재 : 길 위에서도 가능

 

 (b) 특이성singularisation.

             + 공간적/도시적 전략으로서의 소형화 à 특이성과 연관

               : 음악적 경험을 더욱 가끔씩, 부수적으로, 조건적으로 만듬

             +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음악

                         - Gilles Deleuze : 특이성      ≠ 개별적/개인적

                                                                  = 익명적/비인격적/개인 이전의 것/유목민적

(c) 자율성autonomy

             + Deleuze : ‘특이성 = 자동-통합의 과정 : 이동적이며, 역설적 요소에 의해 대체 (ibid. p.125). 

             + 자율성 ≠ 고립, 개인화, 현실로부터의 단절 등

                           = (역설적으로) 자기 통합self-unification의 과정

             + 워크맨 사용자 : 자율적이고 단일한 순간에 실제에 통합

                           . 영화 <La boom 2>

                              파티에서, 한 소년과 한 여자 둘 만의 헤드폰으로 들려오는 음악

                             = 긍정적 거리positive distance를 좁혀주는 ‘[남들은] 이해할 수 없는(incompossible)’ 커뮤니케이션

                               긍적적 의미의 거리두기개념 : 위상적/피상적 & 거리를 두는 것에 대한 확인

                               워크맨 = 청각적 폴라로이드 : 행동 속도, 효과 즉각성, 기계적 구성의 단순성, 결과의 박진성,

                                                                        재생산의 낮은 충성도, 작동의 용이성, 영역의 비특정성, 주체의 익명성,

                                                                        경험의 우연성

 

(d) 의미의 구축화/탈구축화Constructing/deconstructing.

             + 워크맨 관습praxis : 음악적 의미를 음악의 표면으로 집중

                                           음악의 표면을 전체the whole로 일반화

             + ‘음악적 의미 = 표면 효과surface effect &.울려펴지는 소리의 저항적 밀도 효과(Parret 1983, p. 30)

             + 음악의 표면성surface-ness : 워크맨의 특이성과 자율성 때문 à 소형화에 의해 실감

             + 물건 정의 = ‘의미화와 형식의 상태'a status of meaning and a form'

               à 의미 창조와 객관화(대상화)objectification는 병행(Baudrillard 1972, p. 230)

                           - 물건 그 자체가 아니라 사용하는 물건에 흥미

                           - ,사전적 의미가 아닌 관습적 의미에 흥미

                           - 워크맨 = 어떠한 의미도 없는 맥락contex

                                          모든 맥락 = 워크맨의 특이성과 자율성에 의해 정당화되고legitimated, 사용되고appropriated,                                                           납득justified 가능

                           + 동사 ‘to be’와 관계사 ‘and’ 사이의 언어 싸움

                                        - 서로 동의agree하고 표면에서 서로 결합

                                         이유 : 하나가 모두 변주variation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언어에서 지속적으로 언어의 온음계diatonic scale를 만들어,

                                               일반화된 반음계 사용generalized chromaticism의 라인 구성 역할을 하기 때문

                          à 관계로서 ‘and’ 분석에 불만족. (Deleuze and Guattari 1980, p. 124)

             + 워크맨의 실제적practical 의미

               : 실재성the reality과 실재the real 사이, 도시the city와 도시성 the urban 사이, 타자와 나 사이에서 생성

                도시-텍스트의 주어진 긴밀성coherence을 탈맥락화

                워크맨과 겉으로 응집하지 않은 모든 상황situation을 탈맥락화

               à 양면적double-faced 작업work : musica mobil의 전사前史에서 부분적으로 이미 수행

                  의미의 구축화/탈구축화 과정을 워크맨이 완수

 

4. Walkman versus urbanism 워크맨 대 도시주의

 

# 대상으로서의/도시맥락에서의 워크맨

□ 도시 맥락의 관점에서의 워크맨 & 대상으로서의 워크맨

             - 분리되지 않고, 종종 구별불가

             - 상호보완적이고 오직 다른 강조점accentuations만 발견될 뿐

 

# 도시에서의 걷기행동과 주체

▷ 도시의 이용에 관한 이론이 중요 à 생산적인 관점이 아닌 해석적인 에서부터 나아갈 것

                                                     - 생산적인 관점 : 계획자와 확인가능한 도시적 메시지를 발신하는 사람 일부

                                                     - 해석적인 관점 : 거주자, 수신하는 사람 일부(Greimas 1976, p. 144)

▷ 도시에 산다는 것 = 개개인들에게 '모든 공간적 메시지가 수렴하는 장소space에 산다는 것'을 의미

▷ 걷기 행동the walk act = ‘주체와 객체간의 상호연관성과 상호작용성으로 구성 (Greimas)

▷ 걷는 주체 : 완전한 integral 경험의 시각적/청각적/ 후각적/ 미각적/ 촉각적 변형의 과정에 존재

 관점은 그것이 긍정하는 발산divergence을 향해 열려있다. 그곳에는 각각의 관점에 일치하는 다른 도시가 있다. 각각의 관점은 곧 다른 도시이다. 그 도시들은 그것들의 거리에distance에 의해 통합되고, 그들 시리즈의 발산을 통해 울려퍼진다. 그리고 항상 다른 도시는 그 도시 안에 있다.’(Deleuze 1969, p. 203).

 

+ 환경 : 걷기 행위을 통해, 걷기 행위를 위해 변형을 수용,

+ 걷기 행위 : 상호적/독립적인 행위들이라는 관점에서 정의가능

                          + 사회-문화적으로 조건지어지는 몇몇 코드를 전제

                           + 일련의손안의 지식들을 소유

                                         손안의 지식들’ : (1) 경험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2) 도시 계획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함의적으로 제공되는

                                                                  행위conduct에 대한 것

+ 도시 계획자

             - 그가 사는 공간과 장소를 가상적으로hypothetically  프로그램화하고 구축build.

             - 진행중인 당면과제로서 그들의 지식을 다이나믹한 변화 가운데 그 자신만의 것으로 전환시킴

               유동성dynamic 때문에 à 가상적으로 그리고/혹은 현실적으로actually 환경의 부분이 됨

             - 도시계획자는 그의 환경에 포함됨 à. 그래서 그의 행동과 그의 환경은 러시안 인형의 구조와 같은 관계 형성

                                                                                                          (안에서 밖으로 그리고 밖에서 안으로의 관계) à 이 넘어가는-행동trans-action

                : 교류하는transactional 세계의 자기변형self-metamorphoses과 일직선으로in line with 나아감.

             + 도시 = 텍스트 à, 거주자 = 텍스트 내의빈공간blank’

                                                        à 해석적 행동(city-text-event에 대한 그들의읽기 행위’)에 의해서 완수

                                                                                                                        (see Greimas 1976, pp. 151ff)

.

 

# 청각적 면을 배제하는 도시계획자 : 역사적 고찰

□ 도시계획자 : 청각적acoustic 인 면을 배재한 채 그들의 도시의 공간적 차원에 대한 계획에 착수

             - 거주자들이 기꺼이 들을 수 있는, 도시가 가지는 tone의 종류를 간과

             - 도시는 바깥으로부터 눈에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들리지도 않음

             - ‘눈에 보이지 않는 공간blind zone’ = 죽음의 공간dumb zone (Henri Lefebvre<le champ aveugle>)

                          . 근대 도시주의, 전통적인 도시계획, Utopia Cittd ideale의 역사

                              Plato Piero della Francesca에서부터 Fourier 혹은 Le Corbusier에 이르기까지

                              à 도시들에서 청각적 삶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묵묵부답

                             à 고대도시계획자urbanist’ : 청각적 환경ambience에 무감각

                                                                       각각의 도시 고유의 도시통urban tone 소유 상상 불가

 

# 청각적 디자인에 대한 Murray Schafer의 연구

■ 캐나다 작곡가 Murray Schafer : 청각적 디자인 이론에 대한 가치있는 최초의 연구 수행 = soundscape

             + 오늘날, 청각 디자이너의 업무 : 도시계획자와 동등하게 필요

             + 오늘날 청각 디자인의 한계 : 풍경landscape의 사유화property line를 위한 soundscape의 궤도에 대한 오해

             + 소리 윤곽의 윤곽의 상호침투interpenetration 와 밖으로쓸기outsweep의 현실화 à 청각적 존zone 형성

'                                                                                            (Schafer 1977, p. 216; see also Sansot 1973, 1983)

 

             + 역사, 문학, 기술민족학의 이용use 과 현재 도시의 현실성 하락에 대한 논쟁

               à 인간 상태로의 재건 = ‘인본주의적 프레임워크humanistic framework’

                  : 지각적 수준(‘귀청소ear cleaning’) 혹은 상황적 수준(‘음을 내는 정원 soniferous garden’)에서

                   soundscape의 특별한 관점을 위한ad hoc 증진을 목표

                   à soundscape 의 제도화에 대한 고려 미비

             + 거주자/사용자의 관점 보다는도시계획자urbanist  혹은 계획자planner’의 관점 혹은교사의 관점에서 비롯

               . ‘청각적 생태학’ : 이미 존재하는 soundscape에 대한 예민한 sensitivity에 기반 à ‘soundwalk’와 연결

             +  ‘soundwalk’ :    - ‘걷는 동안에 들리는 사운드의 특별한 레퍼런스에 대한 하나의 보고서를 생산

                                        - 도시에서 주어진 soundscape가 잠재적으로 즐겁다는 것을 가정

                                         (‘다양한 현금 인출기의 음조pitches, 다양한 전화 벨소리의 지속’ , ‘도시 거리에서의 배수관 음                                                       ’, ‘네온 빛의 다양한 하모니의 톤tones’ , ‘모든 주석도금 상품들의 뚜껑을 열때와 가게를 들                                           어갈때(Caribbean steel band!)’의 소리) (Schafer 1977, p. 213)

                                        - 교훈적 : ‘관습praxis의 살아있는 구조와 잃어버린 소음., 잃어버린 자연Nature에 대한 갈망

 

 Baudrillard의 감상적인sentimental 생태학자에 대한 비판

생태학   + 죽음의 신호 & ‘자연의 완전total 추상개념' à .거대한 기의, 거대한 기표

             + 자연의 죽음 & 시뮬레이션의 모델로서의 복귀restitution 둘 다를 고안하는 환경“(Baudrillard 1972, p. 253)

 

 

Schafer에게 부족한 것

             + 정치경제학의 지식에 기반하는 시뮬레이션의 질에 대한 반성reflection

             + 인공물artificiality, 즉 다원성plurality의 개념에 대한 고려 à 정치경제학은 필요불가결

             +  Michel de Certeau

              도시 계획 = pluralised  생각에 다원성plurality 에 대한 생각과 효과성 부여를 의미

                             à 축적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고, 축적될 수 있는 것’ (de Certeau 1980B, p. 175).

             + 우리의 삶 ≠  -층위의 ‘ sonoferous’ 현실 à 전체 현실로의 영향을 균등하게 작동

                                  여러-층위의 구조에서의 하나의 층 : - 다른 곳에서부터 이동

                                                                                - 일정한 인과관계도 발견불가

                                                                                - 실물보다 큰 높이 혹은 공간적 깊이도 불 허용

 

# 듣기의 영토화

Schafer 듣기 방식 = ‘영토화하는'territorialised  듣기

à 도시 공간= ‘소음에 친숙한 공간’, ‘안전 공간’(Barthes 1982, p. 218)

à (때문에) 거리에서 워크맨 듣기 = ‘탈 영토화하는 듣기

             + 단일한 청각 경험에 의해 변형된 친숙한 soundscape의 모든 종류가

               사용자 고유의 진행중인 보행 행위에 의해 대등하게됨을 의도

             + 보행행위 :  스스로가Self 그의 주변과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위해머릿공간head space’ 형성

                              à 결과 : 자신Self의 이동성

             è 워크맨+ 청각적 디자이너의 미리 결정된 모든 선을 가로지름

                           + 자발적으로 현실을 구조화한 인지를 향하는 움직임 가능

                           ≠ 스스로를 둘러싼 피난처 혹은 나르시즘적인 퇴행을 향하는 것이 아님

 

5. Walk act 걷기 행위

 

# 걷기 행위로서 워크맨

■ 워크맨

             + 걷기 행위가 가장 우선적

             + 걷기 : 인간 이동을 위해 가장 원초적/즉각적이며/신체적coporal 미디엄

             è 걷기를 음악과 연결지음. 

             + De Certeau의 언술행위the speech act와 걷기행위the walk act 비교

                           - 걷기 행위 = 도시적 시스템

                           - 언술행위enunciation(the speech acr) = 언어 혹은 이용가능한 발언utterances 시스템

                           - 3 개의언술적enunciative’기능  

                                        1) 보행자에 의한 지형적 시스템의 전유appropriation과정

                                           : 언술자는 그 스스로를 위해 언어를 취하고 전유한다

                                        2) 장소의 공간적 현실화realization

                                           : 언술행위는 언어의 소리울림 현실화이다

                                        3) 구별지어진 위치들의 특정 관계들을relations 함의

                                           = 이동의 형식에서 특정 실용적계약’pragmatic 'contracts'

                                           : 구어적 언술 = ‘할당allocation’

                                                        = ‘타인과의 위치짓기positioning of the other’

                                                            = 언술자들 사이의 관계를 구축

                           - 걷기의 주요 정의 : 언술의 장소에서 발견

                                                       걷기 = 환경에서의 이동하는 기질성을, 사교적인 topoi의 연속을 생성

                                                                                                                                     (de Certeau 1980B, p. 180)

             + Jean-Francois Augoyard

                           - 읽기의 poetics 대해서 생각

                           - 이유 :

                             걷기 행위 = 매우 복잡한 방식perplexing manner으로 살아있는 공간경험을 구축하는 움직임의 발현

                                                     (Augoyard 1979, pp. 28, 71; see also Bollnow 1963, Norberg-Schultz 1971, Sansot 1973).

 

# 다른 행동과의 혼합하는 신체작용으로서의 워크맨

■ 워크맨 : + 걷기행위를 보다 시적으로 (들뢰즈식 and말더듬는stuttering’ 기능에서 기인)

             + walk and listen. / walk'n'liste / walk'n'eat'n'drink'n'play'n'. . .'n'listen

             + 롤러 스케이트타는 소년은 맥도널드를 먹으며, 코크를 마시며, 워크맨을 통해 마이클 잭슨을 들으며...

             è 워크맨의 기쁨

                           +  다른 행동과 혼합되고, 다른 행동에 의해 오버랩되는 리스닝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

                           +  듣기 행위로서  -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것

                                                     -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주의산만한 것

                                                     - 수렴적인 것이 아니라 발산적인 것

                                                     - 구심적인 것이 아니라 원심적인 것

             + 더해지는additional 듣기 행위에서,

                음악 = 항상 비음악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이질적인 요소들에 편입적된in-corporated

             + 워크맨 관습praxis에서 (musica mobilis의 다른 유형들 혹은 디스코 음악의 댄스 극장과 비교)

                워크맨 = 듣기 행위 그 자체의 신체성corporality과 강하게 결합conjoined

             + 친밀성intimacy, 때문에 è 신체의 연장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부분s a built-in part혹은 두음첨가prosthesis 같은 침입(Traverses 1979)

             + 워크맨 홀더 :    - 그의 몸으로부터 사운드를 듣고, 음악을 plays(Barthes 1982, p. 265).

                                        - 워크맨이 피부 안으로 칩입할 때, 우리 몸의 순서는 역전

                                          à 자아와 세계의 상호침투가 활성화

                                          à 피부의 표면 팽팽함tensiondms의 기능 균형 상실.

                                             : 신체에서의, 신체를 통한, 신체의 a mise en oeuvre(구현)이다.(Tibon-Cornillot 1982, p. 120)

                                          à 워크맨을 통해 신체는 열림

                                          à 도시의 연극화theatricalisation, 심미화aestheticisation,의 과정으로 변화

                                             - 그러나 은밀히in secret

 

6. Walkman as secret theatre비밀 극장으로서 워크맨

 

# 개방적/공공적 비밀로서 워크맨

□ 워크맨 첫 풍경

             - 보이는 것 : 어떤 것을 듣고 있는지whether를 알 수 있다 사실

             - 보이지 않는 것 : 그들이 듣고 있지 않는다는 것what

             = 어떤 것은 거기에 있었으나was, 그것은 드러나지 않았다not appear. : 곧 비밀(Traverses 1984)

             è 모바일 사운드 형식의 비밀 = 개방적/공공적인 비밀.

 

# 비밀은 가진 사용자의 비밀 드러내기

□ 사용자 : ‘밀렵꾼poacher의 방식manner’ 사용 (de Certeau 1980B, p. 10)

             + 비밀들 : 커뮤니케이션과 비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따라 나아감

             + 비밀을 가진자는 항상 비밀을 가지지 않은 자에 비해 항상 잇점을 소유

                           - 비밀을 가진 자의 비밀 드러내기

                           1) 최초의 발설 : 존재 드러내기 2) 마스크 지우기 : 진실 드러내기

 

# 워크맨 행위 표현 3단계

□ 발설 이전 : 불명확 à 발설 이후 : 너무 명백

▷ 최초의 고백 이 후,

             + 커뮤니케이션을 거절하지도 못하도 현실reality로부터 고립되지도 않는다.

             + 비밀의 존재는 언술enunciating를 지속

                           - 소유자는 사람들에게 자발적으로 진실truth 소유 사실 알림

                           - 진실은 드러나지 않음

             + Spielberg <미지와의 조우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Kind>에서 Frangois Truffaut(Claude Lacombe)

                           - 우주로부터 온 이해할수 없는 메시지가 직관적으로 비밀이라고 느꼈기 때문 진실이라고 생각

                           - 2 가지 점에서 흥이로움

                          (a) 수신받은 비밀메시지message-as-secret을 우주로 방충할 때, 그는 그것을 모사

                           (b) 그 메시지는 음향을 퍼뜨리는 거의음악적’ (d-e-c-C-G)

                           à 모방을 한 Truffaut의 믿음 = 워크맨 가진자walkman-holders

             + 비밀을 알고자 하는 호기심 à 워크맨을gadget 전 세계에 퍼뜨림 à 패션 품목화

             + 가진자holder가 구경꾼beholder으로부터 느끼는 우월감 가짐

▷ 워크맨 행위 표현

             + 1단계 : 비밀 형식을 타인에게 전시

                           (비밀을 가졌다는 사실만 인지 할 뿐 그 내용에 대해서는 공유하지 않음)

             + 2단계 : 걷기행위와 함께하는 음악의 표현성

             + 3단계 : 가진자holders가 정확하게 모르는 것과 관련 = 비밀로서 들리는 것

                           - 현실reality encode하고 decode를 동시적으로 받는 코드 방법에 의해 인간 인식으로 이입 가능

 

# 심미화가능으로서의 워크맨

□ 워크맨 방식으로 도시에서의 쾌Euphoric와 불쾌dysphoric에 대한 경험(Greimas' term)

=  3 cryptic 표현의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야

=  심미화'aestheticisation'라 불리우는 동전의 양면

             + 심미화 : 물건의 외양에 구속되고attaches to “지각할 수 있sensible”다고 취미taste하는 (오감에 의한) 지각 행동

                                                                                                                                      (Dufrenne 1979, p. 131).

             + 긍정적 지각 = 'euphoria'

               부정적 지각 = 불쾌 'dysphoria'

             + 심미화가능aestheticisable = mise en ordre sensible (정리에 민간함) 가능

             è 워크맨 : sensible을 고려한다는 점에서심미화가능'aestheticisable'

 

# 워크맨 심미화의 미학적 양상 :  semantic & theatrical

□ 워크맨 심미화가능

             - 워크맨이 감각sensible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 특정 반응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 불쾌dysphoric 혹은 쾌euphoric라는 점에서,

             - 각각의 공간적 중요성을 어떤 무언가로 단호하게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è  그 미학적 양상 :  의미론semantic theatrical 한 것으로 연결

                           - 의미론 :  워크맨이 도시 의미의 네트워크를 구축 그리고/혹은 탈구축하기 때문

                           - theatrical :  은밀한 책략의 수단으로 개방적이고 이동하는mobile 극장을 조직할 수 있기 때문

                                            은밀한 책략 = 도시의 공간적 배치constellation 를 변형 &

                                                                  도시의 공간적 배치와 은밀하게, 암묵적으로 커뮤니케이트

                                                            à 은밀한 책략에 의해 사용자는 수상쩍은 사람possible stranger이 됨

                                                                  그는 이해하기 힘든 보행자 언어를 언술

 

# theatrical으로서의 미학적 양상

□ 구경꾼 :         

             + 스스로를 극장의 관찰자라고 느낌

               이유 -  왜냐하면 스테이지에서담화dialigue’는 여전히 명백하에 현실적 현존 없이 지속하기 때문

             + 극장= text 라면 à 구경꾼은 연극적 과정에 참여할 것을 앎.

             + 연극과 워크맨의 문자적 과정을 위해 필수불가결

             à 워크맨의 출현 : 모든 지나가는 사람을 연기자(가진자) 혹은 관람자(구경꾼) 포함시킴

                = ‘수동성과 능동성으로의 구별

                = 관습에 의해 주어진 (여성un donne)을 통해 영향 받은 공간을 사회적으로 표식marking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구분 (de Certeau 1980A, p. 248).

 

□ 워크맨 효과 :

             + 관습적 작동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측정되어야

             + 워크맨이 꺼졌을 때도 연극적 효과는 여전히 활동적 à 이 쇼는 장치-대상이 죽을 때까지 진행되어야

             à 우리는 모두 엔터테인먼트 기업Societi ludique (Alain Cotta)에 삶

                           - 지루함이라는 끊임없는 위협을 받으며 놀이/게임(jeu)에 의해 공격당함

             à스펙터클의 사회에서 행위자 혹은 관람자.라는 우리의역할을 선택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