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earthalbum.com
구글어스와 플리커 사진의 결합
1. 본질에 충실하라
웹2.0 = 데이터 2.0 + 애플리케이션 2.0
서비스 :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이 더해져 최종 사용자와 만나게 되는 접점
개발 플로우 단계
1. 어떤 데이터를 다룰 것인가 - 데이터의 정의
2. 이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 및 유지보수할 것인가 - 데이터 구축 전략 : 제작, 라이센싱, 사용자 생산 등
3.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많이 보고 쓰게 할 것인가? - 애플리케이션 설계
데스티네이션과 서비스의 포지셔닝
공급자가 제공한 데이터 -> 데이터 중심의 서비스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 -> 사용자가 중심이 되는 커뮤니티, 소셜 서비스
http://www.oreillynet.com/pub/a/oreilly/tim/news/2005/09/30/what-is-web-20.html
2. 데이터의 개념을 확장하라
종류확장 : 웹사이트, 뉴스, 포토사진, 음악, 영화, 상품, 지도, 책... - 더 많은 오프라인 자산의 디지털화
포맷확장 : 텍스트 -> 이미지 -> 오디오 -> 동영상 - 멀티미디어화
www.archive.org
전세계 모든 사이트의 웹페이지 히스토리
books.google.com
디지털화된 모든 책
www.technorati.com
소셜 블로그
www.memeorandum.com
화제뉴스
wab as platform
플랫폼의 2가지 특성
1. 확장성 = 방법의 오픈
시스템의 자유로운 확장 :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기능 추가
사용자의 참여에 의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생산
부산된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API, Web service
2. 개방성 = 내용의 오픈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 : 시스템 간의 자유로운 데이터 이동과 가공
데이터의 믹스를 통한 새로운 컨텍스트의 참조
분산된 시스템, 외부서브스에서의 데이터 활용
XML, RSS, 표준 포멧
데이터의 확장
데이터 -> 메타데이터 -> 사람 및 관계의 데이터
데이터 가치의 확장
어떤 데이터인가 (정확하고 좋은 데이터를 만들자) -> 얼마나 많이 보여진 데이터인가 (더 많은 사람이 이 데이터까지 도달하게 하자) -> 얼마나 많이 활용되는 데이터인가 (더 많은 사람이 이 데이터를 필요한 곳에 활용하게 하자)
3. 만들어야 할 이유를 제공해라 - 데이터 생산
종류별 포멧별 UCC 플랫폼의 등장
포맷별
이미지 : 플리커, 버즈넷 www.buzznet.com
오디오 : www.odeo.com www.podshow.com
동영상 : www.youtube.com video.google.com
종류별
지역 www.43places.com www.judysbook.com
책 www.liborarything.com www.chainreading.com
여행 www.realtravel.com www.wikitravel.org
이벤트/행사 www.upcoming.org www.eventfulcom www.zvents.com
뉴스/미디어 www.ourmedia.org www.commontimes.org
winelog.net : 사용자가 와인 정보를 생산하고 평가
www.vizu.com : 사용자 생산 온라인 폴 플랫폼
www.secondlife.com : 사용자들이 직접 게임의 아이템을 제작하는 게임 서비스
www.etsy.com : 사용자가 만든 수공예품을 올리고 거래
사용자의 참여 동기 유발
1. 나에게 필요한 일을 한다
2. 나를 드러내고, 다른 사람들과 교류한다
지역 리뷰 서비스인 주디스 북에서는 리뷰를 쓸 때, 해당 리뷰를 자신의 블로그에 동시에 포스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플리커의 블로그 하기 : 생산과 유통의 플랫폼 연결
3. 독립된 UCC 커뮤니티 섹션에 참여한다
소셜 책 리뷰 서비스 라이크러리씽 책 페이지 : 책의 기본 정보에 대한 영역은 대폭 축호, 사용자가 생산한 정보가 페이지 내의 주요 부분을 이룬다
4. 여러 사람들과 함께 공도의 작업물을 만든다
5. 재미를 느낀다
http://images.google.com/imagelabeler/
- 게임을 통해 키워드 산출 및 검증
- 악성 사용자 판별
- 액션별 사용자 분석 및 해댱 사용자에게 적합한 이미지 제공
- 양질의 키워드를 메타데이터로 수집
- 태그 검증
=> 메타 데이터화
6. 보상을 받는다
추가 스토리지, 프리미엄 기능, 무료 콘텐츠, 할인 혜택, 외부 마케팅 제휴 등
http://answers.google.com/answers/
크라우드소싱 : 일반 대중을 활용해 기업 내부 고용인이 해야 할 일을 대신 하게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http://www.wired.com/wired/archive/14.06/crowds.html
istockphoto.com : 사진을 원하는 사람이 원하는 사진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진 가격을 올리면, 사람들이 조건에 맞는 사진을 찾아서 올린다. 배공과 포장을 포함여 사진 1장을 5달러 정도에 구매할 수 있다.
innocentive.com : 기업이 R&D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와 함께 가격을 제시하고, 사람들은 공개된 문제 중 자신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찾아 연구하고 해법을 제시한다.
http://www.threadless.com
http://www.sellaband.com/
기업이나 개인은 HITs(human intelligence tasks) 제시
예
- 동네 식료품 가게의 야채 가격 올리기
- 파드캐스팅 오디오 파일을 텍스트로 받아 적기
-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엄마 사진 올리기
- 간단한 블로그 포스트 쓰기
- 주변의 가장 좋은 부동산 업소 추천하기
- 결혼 기념일 축하하는 기발한 방법
- TV 수상기에 대한 간단한 리서치
4. 언제 어디서나 쉽게 만들고 쓸 수 있게 하라
5. 구조화된 데이터
6. 작게 쪼개어 조립할 수 있게 하라 - 마이크로 콘텐츠
마이크로 콘텐츠
완결성 : 데이터와 메타데이터가 더해진 하나의 완결된 정보 단위이다.
고유링크 : 간결한 고유 URL을 가지고 있어서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독립된 데이터 처리 : 독립적으로 링크, 공유, 추천 등의 익터랙션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텍스트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 기능한다.
www.sampa.com : 웹기반의 DIY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 기능 : 앨범, 블로그, 프로필, rss, 태깅, 로그인
- 디자인 : 디자인템플릿
- 컨텐츠 : 플리커, 딜리셔스, 유투브의 사용자컨텐츠
www.ideed.com/salary : 지역연봉서비스
co.mments.com
"데이터의 어떤 단위를 독립시켜, 어떻게 기획했을 때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줄수 있느냐"
-----
원소스 멀티유즈
한페이지에 평가, 공유, 구독 서비스 제공
마이크로컨텐츠 사이의 자유로운 믹스 과정 -> 새로운 컨텐츠 창출
= 데이터간의 자유로운 짝짓기
-----
조립과 가공
www.googlesightseeing.com : 외부와의 URL 연결
-> 외부와의 고통 -> 서비스의 접점
www.vlogmap.org 블로그의 위치공유
"확보한 데이터를 쪼개어, 사용자들이 이것을 레고 조각처험 마음대로 붙이고 이어서 부가가치를 몇 배로 높인 새로운 컨텐츠 생산"
URL 공개 : 사용자로 하여금 위치파악이 가능하도록!! 딜리셔스.
-----
기능의 마이크로화
-----------------------------------------------------------------------------------------------
소셜화
소셜 애플리케이션2.0 = 소셜네트워크 +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킹을 통해 데이터 공유 -> 집단지성
클립 : 스크랩 아이템에 대한 간단한 코드를 생성, 이를 웹페이지에 붙여서 공유 피드를 퍼블리싱
www.rojo.com : RSS 리더 내에서 사용자간 관계 맺기 지원
지인간 태깅 아이템 공유
누구와 관계 맺느냐 -> RSS 피드차이
사람들의 참여 결과 -> 중요 데이터 필터링/추천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의 변화
퍼블릭 => 퍼스털 => 소셜
consume => consume+share => consume+share+network
-----
소셜화의 재료 확장
www.swagroll.com : 사용자가 구매했거나 추천하는 상품에 대한 카탈로그 공유
www.kaboodle.com : 원하는 상품이 있는 외부 페이지에서 북마클릭을 활용해 정보를 나의 리스트에 추가
-----
소셜 애클리케이션의 기본
관계 => 공유 => 발견
관계
- 보관 : 북마크, 링크, 스크랩
- 알림 : 메일, RSS, 메신져
- 구독 : RSS, 뉴스메일링
- 싱크 :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싱크
- 정보추가 : 태깅, 코멘트, 평가, 메모
- 공유
- 추천
웹오피스 서비스
www.whiteboard.com
www.rallyponthp.com
www.jotlive.com
www.zohowriter.com
www.numsum.com
www.irows.com
www.thinkfree.com
www.ajaxwrite.com
www.foldershare.com
======================================================================================================
어텐션
1. 생산에서 필터링으로 : 사용자로 하여금 선별하게 하라
www.cbsnews.com/section/blogophile
: 멜리사 맥나마라라는 에디터가 그 주에 블로거들이 관심을 가졌던 핫이슈와 추천 포스트 링크를 제공
-> 전문 에디터가 직접 블로그들을 돌아다니면서 화제의 포스트를 판단하고 정리
www.memeorandum.com
가장많은 링크를 받은 포스트를 중요한 포스트로 판단
-> 아주많은 사람들의 판단을 양적으로 집합한 객관의 산물
집단지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 개인은 집단의 이익이 아니라, 자신의 관심과 이익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한다.
2. 이런 개개인의 선택을 모아보니 가치 있는 결과가 만들어졌다.
3. 물론 일부의 선택은 집단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잇따.
4. 하지만 일정 규모 이상의 선택이 중첩되면, 그 선택된 결과는 합리적이 된다.
2. 어텐션 : 흩어진 관심을 모아 이로운 지혜로 만든다
주로 사용되는 어텐션 데이터의 의미
클릭수 : 컨텐츠의 인기도
링크 : 컨텐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의 관심
북마크 : 컨텐츠의 필요성
평가 : 컨텐츠의 품질에 대해 코멘트나 별점, 점수 등으로 구체적인 의견 표현
태그 : 메타데이터를 통해 컨텐츠를 표현
www.digg.com
: 일정 규모 이사의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의사 결정의 결과가 합펴지면 자연스럽게 나쁜 선택은 도태되고 커뮤니티 전체의 가치 판단을 반영한 좋은 선택이 수면 위로!!!!
& 이 시스템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판단을 제거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 동원
www.atumbleupon.com
사용자에게 개인 췝페이지 선호도를 표현하도록 툴바 제공 -> 사용자의 선호도 측정 -> 사용자에게 알맞는 정보 제공
다양한 만남의 경로 : 이 웹페이지를 추천한 사람들 & 이 사람이 좋아하는 웹페이지
3. 어텐션 활용의 두 가지 방향 : 집단지성과 개인화
어텐션 -> 필터링 -> 개인화 서비스 -> 커뮤니티의 집단지성 도출
개인 어텐션 : 개인이 관심을 가질만한 데이터 필터링
집단 어텐션 : 개인의 어텐션을 집합해서 전체 커뮤니티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필터링
ex) 집단에서 가장 인기 있는 데이처, 많이 쓰이는 데이터, 높은 평가를 받은 데이터
소셜 어텐션 : 개인 어텐션의 소셜화. 개인만의 어텐션 데이터를 지인이아 집단과 공유하면서 네트워크 간의 집단 어텐션 형성
www.tailrank.com/posts/filter
마dl뉴스 필터 : 내가 좋아하는 사이트에 기반을 둔 관련 톱 스토리만 필터링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이트 URL 직접 등록 -> 한계
OPML (RSS리더에서 현재 구독하는 사이트 목록 정보를 담은 파일) 이용
www.findory.com
클릭한 기사, 체류시간, 검색, 브라우징 히스토리 ->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패턴 분석 -> 기사 필터링
==================================================================================================
태깅
==================================================================================================
RSS
www.live.com
개인화 포털
독립서비스에 분산외어 있는 개인 데이터를 통합해 한 곳에서 소비할수 있도록
www.netvibes.com
www.protopage.com
www.eskobo.com
www.pageflakes.com
RSS 데이터의 확장
주제별 : 뉴스, 만화, 영화, 부동산, 금융, 여행, 등
포맷별 : 텍스트 -> 음악 -> 동영상 -> 멀티미디어화
쇼핑 정보를 모아주는 서비스
www.slickdeals.net
www.marestuff4less.com
www.tssbuys.com
에드센스 수익 피드
www.frenchfragfactory.net/ozh/my-projects/track-adsense-earning-in-rss-feed/
물품의 배송정보
www.simpletracking.com
내가 들었던 최신 음악 리스트
www.last.fm/user/bad_speed
2007년 4월 30일 월요일
정유진의 웹2.0 기획론 요약 정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