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4월 12일 목요일

블로그 파워 요약!!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 파워

타임지 파악한 블로그의 측징
- 블로거들은 특종도 캐낸다.
- 사라질 뻔한 뉴스도 살려낸다.
- 거짓말쟁이 블로그 조심
- 블로그가 돈을 번다.
- 대권 주자들은 블로그를 좋아한다.
- 애완동물 블로그도 있다.
- 누구나 할 수 있다.

레베카블러드 - 사람들은 왜 블로깅을 할까?
- 정보 공유  information sharing
- 명성 추구 reputation building
- 개인적 표현 personal expression
=> 스스로 편집자가 된다

필터링 - 불필요한 정보(데이터 스모그)를 걸러낸 뒤 꼭 필요한 정보만 제공

한국블로거의 특징 :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가상현실적 공동체 : 자신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자신들의 동료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생각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은 모두 배척하려는 경향

이슈관여 : 블로거 개인을 알아서라기보다는, 누군가의 글을 보고 링크를 따라서 들어왔다가 그 글에서 제기하는 이슈에 어떤 문제의식을 느껴서 생기는 관여, 이규에 대한 사전 태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서 글을 읽으면서 관여를 형성해 나간다는 점에서 어떤 경우는 글에서 논의 하는 대상에 대한 태도나 견해가 바뀌는 경험을 할 수도.

자아관여 : 준거집단 관여, 자신의 준거 집단의 의식과 경험을 공유하려는 동기 의식때문에

결속적 기능과 교량적 기능

휴잇
블로그 공간의 '집단적 게이트키핑 시스템'(신뢰와 평판을 중요시)은 엉터리 블로그 정보를 고라낼 수 있다!~!!!
이웃 블로거들이 게이트키퍼 역할을 담당 -> 신뢰성과 평판을 얻기 위해!!

로퍼트 렌식
사이버 공간이 규제가 불가능한 자유의 공간 -> 잘못된 인식
코드 규제의 필요성 - 코드규제란 인터넷의 기본 설계를 통해 사용자의 자유를 일정 부분 제한 하는 것
=> 코드가 곧 법이다.
예) 일정 연령 이상만 접속 할 수 있도록 사이트 설계를 한다

블로그가 일반 기사를 이길 수 없는 이유
- 기성언론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영향력
- 자신만의 텍스트를 생산할 수 있는 필자가 소수
- 개인공간 여부를 둘러싼 사회적 합의의 미흡

온라인 뉴스의 변화
- 기자 중식적인 뉴스 => 독자 중심적
- 지역 전국 뉴스 => 소 지역적 뉴스
- 대화의 가능성 극대화 : 다양한 스펙트럼 속에 다양한 목소리 반영
=> 뉴스 개념의 변화
기자들이 만드는 것에서 뉴스 세상에서 나오는 것 what emerge from 'news world'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