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0월 17일 수요일

(3) what is web2.0? blog, rss, blogosphere, permalink, trackback

Blogging and the Wisdom of Crowds(이후의 한글 번역본을 찾지 못했습니다.)

- One of the most highly touted features of the Web 2.0 era is the rise of blogging.One of the most highly touted features of the Web 2.0 era is the rise of blogging.

- RSS allows someone to link not just to a page, but to subscribe to it, with notification every time that page changes. Skrenta

- What's dynamic about the live web are not just the pages, but the links. A link to a weblog is expected to point to a perennially changing page, with "permalinks" for any individual entry, and notification for each change. An RSS feed is thus a much stronger link than, say a bookmark or a link to a single page.

- The "blogosphere" can be thought of as a new, peer-to-peer equivalent to Usenet and bulletin-boards, the conversational watering holes of the early internet. Not only can people subscribe to each others' sites, and easily link to individual comments on a page, but also, via a mechanism known as trackbacks, they can see when anyone else links to their pages, and can respond, either with reciprocal links, or by adding comments.

- If an essential part of Web 2.0 is harnessing collective intelligence, turning the web into a kind of global brain, the blogosphere is the equivalent of constant mental chatter in the forebrain, the voice we hear in all of our heads.

- What James Suriowecki calls "the wisdom of crowds" comes into play, and much as PageRank produces better results than analysis of any individual document, the collective attention of the blogosphere selects for value.



-----
permanent link, permalink ; 퍼머링크
블로그나 게시판, 포럼 등에 올려진 게시물에 어느 경우에나 연결될 수 있는 절대적인 위치의 불변 주소(URL). 일반적으로 게시물의 주소는 서버 내의 고정된 파일 위치이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그램이 가져와 화면에 뿌려 준 가상의 주소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복사 방지를 위해 실제 주소 대신에 프로그램만이 인식할 수 있는 표현 방식을 사용하거나 Fancy URL처럼 보다 간단한 주소를 사용하기도 한다. 실제 게시물이 있어도 이처럼 표현 방식이 바뀌면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블로그 주소를 옮기거나 복사한 게시물 또는 오래되어 아카이브로 저장된 게시물들은 최초 게시물을 기준으로 했던 링크들로는 더 이상 접속될 수가 없게 되는 경우도 생긴다. 퍼머링크는 문서 자체에 불변 URL을 주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나 원래의 게시물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준다.

trackback ; 트랙백
트랙백은 철저한 1인 미디어를 지향하는 블로그들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어 소통 네트워크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누군가의 블로그를 읽고 그에 대한 의견을 자신의 블로그에 써 넣은 후 트랙백을 주고 받으면 원래 글 아래 새로운 글로의 링크가 붙게 된다.
누군가가 자신의 블로그에 다른 블로그의 글에 대한 새로운 코맨트나 감상문을 쓴다. 그리고 그 두개의 블로그가 트랙백 프로토콜을 지원한다면, 글을 쓴 블로거는 이 사실을 "트랙백 핑(TrackBack Ping)"을 통해 알릴 수 있다. 그러면 트랙백을 받는 쪽 블로그는 댓글 목록에 트랙백도 같이 표시해 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