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6월 4일 월요일

반복적이고 창의적인 혁신방법론 interative, creative Innovation proce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terative, creative Innovation process
반복적이고 창의적인 혁신방법론

다니엘 넥슨 콘텐츠 전략 본부장
- 스탠포드 공학 학사
- 스탠포드 디자인 석사
- 아이디오 디자인 컨설팅
- 넥슨 디자인 본부장

기술 technology =feasbility

인간 human = desirability

브랜드와 비지니스 brand&business = viability

=> 인간중심적 혁신 Human-centered Innovation

어디를 시발점으로 하는가에 따라서 성패가 달려있다!
시발점이 확실히 균형잡힌 시각

디자인 :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는 방법론 (시각적, 기술적 등의 요소 포함)
1.inspiration -> 2.ideation -> 3.implementation


1.  inspiration

understanding people and their behaviors gove us glimses of ...
혁신의 시작은 사용자와의 감정이입으로부터 with user empathy
- saying / thinking : 사이의 차이 => 기존의 방법 (포커스구룹, 정량조사, 설문지 등) => 한계
- doing / feeling
doing 행동양식 관찰은 사람들의 마음을 알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1) 사용자들의 환경 속ㅇ로 들어가기 get into the customer`s context
6자 통화가 가능한 가능한 전화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6개의 전화를 직접 수동적으로 연결한다.
디자인의 컨셉 / 사용자의 이용 => 갭 발생 => 정량적인 조사 방법으로는 밝힐 수 없는 아이디어 => 정성조사 방법 필요

2) 가설은 접어두고 열린 사고방식을 추구하기 Qestion your assumptions
하드유저 혹은 무사용자를 찾아가 그들의 행동양식을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노인 4분의 인터넷 사용 활동은 의외로 높았고, 집단행동을 함께 보여준다

3) 유사한 상황들, 극단의 사용자들을 찾아보기 Extreme users and analogous situation
게임분석에 있어서, 유사한 게임을 분석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도 있지만,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 체험과 유사한 체험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4) 익숙한 것도 새로운 시각에서 재조명하기 see the familiar in unfamiliar ways
- 응급실에 있는 환자의 입장은 어떠한가 : 환자 체험을 위해 머리에 카메라를 두고서, 4시간 촬영하고, 2분으로 재생 -> 그들이 보는 것은 천장 뿐
기다림, 초조함 등의 환자 느낌을 어떻게 안정시킬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결론
서비스나 제품이 사용자에게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 있다.
 
- 여자친구와의 쇼핑을 온 남자친구는 대게 하릴없이 시간을 때우거나 지루해 한다.
본래 해당 제품의 경우, 남성 화장품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5) 다른분야나 산업 부문에서 해결책 찾아보기 look beyond your own backyard
호주 트래킹 서비스 분야에서 기본적인 물품이 들어있는 백팩을 제공한다.

6) 총체적인 경험을 고려하기 consider the whole ewperience
" 객실 내부의 디자인을 교체해주세요~"라는 의뢰 -> 총체적 접근을 위해.
고속열차 프로젝트 : 러닝 프래닝 스타팅 엔터링 티케팅 웨이팅 보딩 라이딩 얼라이빙 콘티뉴잉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과정을 전체적으로 프로세싱할 필요가 있다.

7) 현재의 행동양식을 통해 미래 예견하기 behaviors predict the future
스탠포드 대학 프로젝트 수업이 많은데, 학생들이 잔디밭 앞에서 공부를 하는데,
이를 교실 앞에서 할 수 있도록, 교실 내부에 팀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 어디서 영감적인 부분을 얻을 수 있고, 어디서 블루오션을 찾을 수 있는가 에 대한 대답
차별적이고 혁신적인 부분을 찾는 방법

2. ideation


여러 다양한 방안들을 빠르게 체험, 실험해보시고, 이렇게 얻은 지식으로 더 좋은 해결책을 향해 초점을 맞추어라
exploring many directions earil on ; trying things put, & learnong your way to the 'most right' soulution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새끼 거북이는 동시에 바다를 향해 간다. 그 중에 대다수는 죽는다. 한 두마리는 살아남아 다음 산란기 때 돌아온다.
한 두 사람의 좋은 아이니어가 아닌, "양적"으로 많은 아이디어가 나오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면서, 발전을 거듭하고, 결국 한두가지의 아이디어가 드러난다.

6계명 the rules  brainstorming

브레인스토밍 시작 전에 이것을 브리핑 해라.

평가는 보류하기 defer judgment

양으로 승부하기 go for quality : 한 시간에 100여개의 아이디어를 만들어라

다른사람의 아이디어를 발판삼기 build on the ideas of others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be visual : 각자 포스트잇을 가져오고, 자기 아이디어는 자기가 그림으로 표현해라.

주제에 집중하기 stay focused on the topic

한명씩 발표하기(지방방송금지) one conservation at a time : 옆사람과 이야기 하지 말고, 모든 사람과 공유해라. 아이디어가 보다 발전적으로 발전 할 수 있다.

3. implementation

단계적인 학습과 정리를 통한 반복적 해결 방법론


1) 3r`s prototype
대략적이고 rough
빠르고 rapid
적절한 수준의 right
프로토타입핑

2)실현해보고 시험해보고 깨닳고 반복 반복 또 반복 build test learn lterate lterate lterate

3)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fail early to succeed sooner
: 빨리 실패할 수록 성공의 확률은 높아진다

4) 바디스토밍 bodystorming
: 브레인스토밍에서 나오는 체험을 몸으로 체험해 본다.
" 프리젠테이션을 받는 사람이 이 게임은 어떤 느낌이다 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영상, 만화 등의 요소를 프리젠테이션 도입할 필요가 있다"

- 에어버스, 이코노미스트 석에서도 어떻게 누워서 잘 수 있을까 에대한 문제점을 실제적 체험을 통해 파악
  직접 비행기 내부 인테리어를 구성하고, 그 안에 의자를 넣어 직접 체험해 본다

- 유저테스팅을 하면서 실시간으로 디자인
  피디에이 디자인 할 때, 포스트잇에 그림을 그려서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사용하게 만들수 있다.



월요일 부터 시행 할 수 있는 몇가지


- Tell story
 개인적인 경험담을 공유하며 회의를 시작해보라. 동업종, 타업종 상관없이, 좋은 경험이건 나쁜 경험이건, 그 경험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이 경험의 교윤을 살려 우리가 하는 일을 더 혁신적으로 할 수 있을까?"라고 물어보라

- Steal from others
 근무시간중 사무실을 떠나 견학을 나가라 다른 업종 업계에서 빌리거나 변환 할 수 있는 아이디어로 여러분들의 업무에 신선한 혁신의 활력소를 제공할 수 있다.

- Emphasize
  직원들에게 고객이나 다른 사람의 입장으로 세상을 관찰 할 수 있게 해주세요. 관찰과 체험에 집중하되 문제엄을 찾거나 해결하려 하지 말도록 당부하세요. : 타겟 대상층의 주로 먹는 음식, 패션, 좋아하는 연예인 등 일상적인 생활 패턴을 파악하여, 그들의생활에 어떻게 파고들지에 대해 고민해라

- Build toThink
 다음 회의에는 가위 테잎 종이 펜을 들고 들어가라. 회의중에 세가지 이상의 러프 프로토타입을 완성. 옆 부서 직원들에게 비드백을 받아오라

- Experiment
 괜찮응 아이디어를 골라 사람들이 체험할 수 있는 정도로 만들어 보라. 실험대상자들에게 어떻게 개선할 지 물어보고,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관찰한 후, 바로 다음 버전을 구축해라

- Radically Colaborate
 직함, 부서 등 구조적인 허물을 문 밖에 두고, 다른 부서에 계신 분들과 함께 협력해 보라.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 Think especially
어떤 경험에 대해 총체적으로 자세히 고려해라. 어떻게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든 단계에서 찰별화된 경험을 체험할 수 있을까?

- Be Optimistic
 긍정적인 태도로 미래는 현재보다 좋아지리라 생각해 봅시다. : 자신의 아이디이어의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생각을 가져라.


팀 구성을 시작하면서.
가이드라인 혹은 지침서를 작성한다. 행동양식과 행동지침을 서로 명확하게 정하고 시작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